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달천몽유록 / 達川夢遊錄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윤계선(尹繼善)이 지은 한문소설. . 1책. 필사본. 성암문고본(誠菴文庫本) <수성지 愁城誌>와 합철 되어 있는 고려대학교 도서관본,, 조경남(趙慶男)이 쓴 ≪난중잡록 亂中雜錄≫ 수록본 등 3종이 있다. 저작연대는 소설의 처음에 ‘만력경자지춘(萬曆庚子之春)

  • 달풀이 [문학/구비문학]

    정월부터 12월까지 매달의 상황에 맞게 노래로 부르는 민요. 달풀이노래로 처음 나타난 것은 고려가요인 「동동(動動)」이며, 서곡 1장과 열 두 달을 각각 노래한 12장을 합하여 모두 13장으로 되어 있다. 계절의 변화와 명절의 감회를 읊은 노래로, 그 이전부터 전승되어

  • 담계유고 / 澹溪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변종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1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901년 아들 석균(石均)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권상규(權相圭)의 서문과 권말에 권동환(權東煥)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

  • 담락가 / 湛樂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국한문혼용체. 4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56행. 내용으로 보아 19세기 초엽·중엽에 지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형제간의 우애를 권장하는 교술적 도덕가류 가사로, 내용은 크게 3단락으로 나누어진다. 제1단은 서사로, 좋은 일에는 친구도 좋지만 궂

  • 담산집 / 澹山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하우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9년에 간행한 시문집. 8권 4책. 연활자본. 1959년 그의 아들 순봉(恂鳳)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재성(宋在晟)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그의 사위 한승(韓昇)의 후서(後敍)가 있다.

  • 담살이 [사회/촌락]

    남의 집 행랑이나 재실·농막 등에 기거하면서 그 집의 일을 해주고, 대신 품삯이나 토지를 제공받아 생계를 유지하는 가족 또는 개인. 머슴살이와는 달리, 이들은 계약에 의한 고용노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일이 있으면 언제든지 참여하여 도와주고, 그 대신 주인집에서는 생계에

  • 담양 용흥사 동종 / 潭陽 龍興寺 銅鍾 [예술·체육/공예]

    전라남도 담양군 용흥사에 전하는 조선시대 동종. 보물 제1555호. 동종은 담양 용흥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제작 연대와 주종장에 대한 명문이 남아있다. 종의 고리는 용머리가 모두 4개이며, 두 마리만 몸체가 있어 고리를 만들고 여의주를 받들고 있는 형상이다. 천

  • 담양오충정려 / 潭陽五忠旌閭 [사회/가족]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에 있는 조선후기 박천붕과 네 아들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시도기념물. 전라남도 기념물 제16호. 임진왜란 때 순절한 밀양인 박천붕(朴天鵬)과 그 뒤 병자호란 때 선친의 유훈을 받들어 싸우다가 순사한 네 아들, 즉 장남 박원겸(朴元謙),

  • 담양향교 / 潭陽鄕校 [교육/교육]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향교리에 있는 향교. 설립연대는 미상이다.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고려 충혜왕 때 설립되었다는 설도 있으나, 본격적인 건물창건은 1398년(태조 7) 대성전이 설립되면서부터이다. 1674년

  • 담옥문집 / 澹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장승원의 시·서(書)·기·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영양지방의 선비들과 그의 조카 인상(寅相)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는 서문이 없고, 권말에 조카 인상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