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 의병·독립운동가 6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의병·독립운동가
  • 김학무 / 金學武 [역사/근대사]

    1911∼1943.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명은 김준길(金俊吉)이다. 출신지는 함경북도 온성(穩城)이다. 1938년 조선의용대를 창설한 뒤 항일선전활동을 전개하였다. 이후 조선의용대 부지대장‧조선의용대 화북지대 정치지도원‧화북조선독립동맹 중앙집행위원 겸 선전부 부장

  • 김희백 / 金熙伯 [역사/근대사]

    1899∼1937.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일명 김희백(金熙百), 평안남도 대동 출신이다. 독립운동을 위하여 만주로 망명하여 북간도의 대한국민회에 가담하였다. 대한독립군에서 군자금 모집을 위하여 활약하였고, 봉오동전투(鳳梧洞戰鬪) 이후 독립군에 대한 일본의 대규모 군

  • 나정구 / 羅正龜 [역사/근대사]

    1886∼미상.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1915년 김좌진(金佐鎭) 등이 만주에서 조직한 조선군단(朝鮮軍團)의 군사교육기관인 사관학교에서 근무하였다. 1919년 3‧1 운동 후 조직한 대한청년단(大韓靑年團)에 가입하여 소만류구(小萬留構)에서 한국인의 호세(戶稅) 징수

  • 남궁억 / 南宮檍 [교육/교육]

    항일기의 독립운동가·교육자·언론인(1863-1939). 자는 치만(致萬). 호는 한서(翰西). 1896년 독립협회를 창립하여 고위급 지도자로 활동하였다. 1898년 9월 《황성신문》을 창간하고 사장에 취임하였다. 1912년 상동청년학원 원장을 겸하면서 독립사상 고취,

  • 노태준 / 盧泰俊 [역사/근대사]

    1911-1970. 독립운동가. 호는 무웅(無雄). 임시정부 군무총장 백린(伯麟)의 차남이다. 1931년 3월 난징(南京)에서 한국독립당에 가입하였으며, 이듬해 4월에는 중국 중앙군관학교에 입학하여 군사교육 및 훈련을 받았다. 1936년 졸업하여 한국독립당 청년단을

  • 문병전 / 文秉栓 [역사/근대사]

    1898-1971.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풍암(楓庵) 문위세(文緯世)의 종손으로, 1898년 3월 18일 전라남도 장흥군(長興郡) 유치면(有治面) 늑룡리(勒龍里)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부터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였으나 남달리 의로움이 강하고 과묵했다. 30여 세 되

  • 민병찬 / 閔丙讚 [역사/근대사]

    1885-1926.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민찬옥(閔璨玉)·민병찬(閔丙贊)·민병찬(閔丙璨)이다. 본적은 강원도 홍천(洪川)이다. 1919년 4월 2일 홍천군 동면(東面) 성수리(城壽里)에서 민씨(閔氏) 문중이 주동이 되어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계획하고 전

  • 민영완 / 閔泳琬 [역사/근대사]

    1911-1976. 독립운동가. 서울 출신.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가족을 동반하고 상해(上海)로 망명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 조직에 참여하였다. 1929년 7월 임시정부 산하의 비밀단체인 화랑사(花郞社)의 총무 겸 재무간사로 임시정부를 지원하면서 독립운동에 헌신

  • 박건웅 / 朴健雄 [역사/근대사]

    1906-미상. 독립운동가·정치인. 별명은 건웅(建雄)·김정우(金政友). 평안북도 의주 출신. 1926년 10월 중국 광둥(廣東)에 있던 황푸군관학교(黃埔軍官學校)의 보병과를 제4기로 졸업하고 중국군에 복무하였다. 그뒤 1928년 9월 상해(上海)의 중국본부한인청년동

  • 박기상 / 朴岐爽 [역사/근대사]

    1888-1934.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이명(異名)은 박사국(朴士國)이다.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전라북도 익산군(益山郡) 출신이다. 아버지는 박병돈(朴秉敦)이다. 1919년 3월 19일 이정(李挺)·이병석(李秉釋)·정영모(鄭永模) 등과 함께 전라북도 익산시(益

페이지 / 6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