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 단행본 1,38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단행본
  • 관촉사사적 / 灌燭寺事蹟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문신 권륜이 논산 은진미륵의 건조에 관한 전설을 정리하여 1743년에 간행한 사적기. 충청남도 논산 은진미륵의 건조에 관한 전설을 기록하였다. 1권 1책. 목판본.968년(광종 19) 충청남도 논산에 사는 한 여인이 약산(藥山)에서 동자의 소리를 듣고 놀라 가

  • 관포시집 / 灌圃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어득강의 시·상량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1권 1책. 목활자본. 서문은 없고 권말에 이황(李滉)의 발문이 있다. 감사 오겸(吳謙)이 저자의 외손으로부터 유고를 얻어 간행한 것이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시 272수, 상량문 1편, 그리고 이황의 발문 등으로

  • 관황 / 官況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관리들의 녹봉을 이르는 용어. 관황(官貺)·관록(官祿)·관름(官廩)·늠봉(廩俸)·늠황(廩況)이라고도 하였다. 관직의 품계(品階)에 따라서 18등급으로 구분하여 쌀·콩·베·돈 등으로 지급하였다.

  • 광견잡록 / 廣見雜錄 [언어/언어/문자]

    1885년(고종 22) 노정섭(盧正燮)이 지은 국어연구서. 저자의 문집인 『연곡집(蓮谷集)』 권13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첫째 ‘언자방언전성(諺字方言轉聲)’이라 하여 속용(俗用)하는 한글 본문표를 게재하였으며, 둘째 ‘합자례(合字例)’라 하여 음절자(音節字) 구성

  • 광묘훈사 / 光廟訓辭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전기 제7대 왕 세조가 세자 광에게 내린 훈사의 내용을 기록한 역사서. 1책 12장. 목판본.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원제목은 ‘광묘어제훈사(光廟御製訓辭)’이다. 책머리에 세조의 자서(自序)가 있고 이어서 10조목의 훈사, 중종의 발문, 최항(崔恒)의 후서(後序),

  • 광백론종요 / 廣百論宗要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광백론』의 내용을 집약하고 핵심요지를 설명한 해설서.불교해설서.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불전소초목록(佛典疏鈔目錄)』 등의 기록에 따르면 원효 저술로 추정되는 1권의 책인데, 산실되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 광백론촬요 / 廣百論撮要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광백론』의 주요 내용과 주장을 정리하고 해설한 불교서.불교주석서. 『화엄종장소병인명록(華嚴宗章疏幷因明錄)』, 『삼론종장소(三論宗章疏)』, 『대일본고문서(大日本古文書)』, 『나라록(奈良錄)』 등의 기록에 따르면 원효 저술로 추정되는 1권

  • 광양읍지 / 光陽邑誌 [지리/인문지리]

    1858년(철종 9)경에 편찬된 전라도 광양(지금의 광양시) 읍지. 후사본(後寫本). 1책. 필사본. 내용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읍호(邑號)·관직(官職)·방리(坊里)·성지(城池)·산성(山城)·산천(山川)·성씨(姓氏)·풍속(風俗)·학교(學校)·서원(書院)·단묘(壇廟

  • 광주목지 / 光州牧誌 [지리/인문지리]

    조선 정조 연간에 간행된 것으로 보이는 전라도 광주목(지금의 광주광역시) 읍지. 1책. 사본. 표지에는 ‘光州牧誌(광주목지)’로 되어 있다. 본지는 1·2권으로 되었다. 내용 구성은 권1에 건치연혁(建置沿革)·직관부속직(職官附屬職)·방리(坊里)·호구(戶口)·전결(田結

  • 광주부읍지 / 廣州府邑誌 [지리/인문지리]

    1899년에 편찬된 경기도 광주부(지금의 광주군) 읍지. 표지에는 ‘光武三年五月日廣州府邑誌(광무3년 5월일 광주부읍지)’로 되어 있다. 1책. 필사본. 내용 구성은 방리(坊里)·도로(道路)·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형승(形勝)·성지(城池)·관직(官職)·산천(山川

페이지 / 1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