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구비문학 62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구비문학
  • 신구문자집 / 新舊文字集 [문학/구비문학]

    김동진(金東縉)이 편찬한 일종의 관용어 사전.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쓰이는 숙어·문자·속담·파자·수수께끼 등을 모아 가나다순으로 배열하여 놓은 것으로,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뉜다. 제1부에서는 보통용의 속담 문자를 자수별로 가나다순으로 배열하고 각 어휘마다 간단한 뜻풀

  • 신돌석설화 / 申乭石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말기 의병장 신돌석(申乭石)에 관한 설화. 신돌석은 민중적 영웅으로서 탁월한 능력을 지녔으나, 왜적을 물리치지 못하고 비참하게 죽은 내력이 설화의 주안점이 되고 있다. 구전자료는 다양하며, 출생지인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을 위시한 여러 지역에 전하여지고 있다. 구

  • 신묘한구슬설화 / 神妙─說話 [문학/구비문학]

    신묘한 구슬을 얻은 인물이 고난이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능력을 차지하게 된다는 이야기. 신묘한 구슬인 주보(呪寶)를 얻어서 적대자를 물리치거나 특정한 능력을 얻기도 하고, 잘살게 되었다고 하는 민담적 성격이 강한 설화이다. 신이담에 속하며 신묘한 구슬을 얻어서 잘살

  •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 / 神仙─ [문학/구비문학]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는 속담의 근원설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전설로도 일부 전해지고 있다. 황해도 평산읍(平山邑)에 가마골, 즉 부동(釜洞)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이곳에 선암(仙巖)과 난가정(欄柯亭)이 있다. 옛날 신선들이 이곳에서 바둑을 두었다

  • 신선설화 [문학/구비문학]

    신선(神仙)과 방사(方士)·은사(隱士) 혹은 이와 관련된 방술(方術)에 관한 이야기. 신선 사상은 본래 중국에서 발전된 장생불사(長生不死)의 사상으로, 중국에서는 겸선천하(兼善天下)의 유학사상과 독선기신(獨善其身)의 노장사상(老莊思想) 두 계통이 발달해 왔다. 이 가운

  • 신세타령 [문학/구비문학]

    신세를 한탄하면서 부르는 민요. 민요는 백성들의 건강한 삶을 노래하는 한편, 자신들의 서러운 심경과 절박한 실정을 노래로 드러내는 본질을 지녔으므로, 거의 모든 종류의 민요사설에서 「신세타령」이 드러나게 마련이다. 민요는 가장 절실한 현실의 삶 그 자체를 노래하기 때문

  • 신오위장본 / 申五衛將本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판소리 사설 작가·이론가 및 연출가를 겸했던 신재효(申在孝)의 가집(歌集). 6책. 필사본. 이 책에는 신재효가 개작한 판소리 사설, 곧 동창춘향가(童唱春香歌)·여창춘향가(女唱春香歌)·남창춘향가(男唱春香歌)로 된 「춘향가」, 「심청가(沈淸歌)」·「적벽가(

  • 신원설화 [문학/구비문학]

    원한을 품고 죽은 사람의 그 원이나 한을 살아 있는 다른 사람이 풀어 준다는 설화. 대체로는 원한을 품고 죽은 사람이 뒤에 원령(怨靈)이 되어 살아 있는 다른 사람에게 나타나 그에게 자신의 원한을 풀어 달라고 의탁하게 되고, 몇 차례인가의 시행착오를 겪은 뒤에 비로소

  • 신유한설화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시인 신유한에 관한 설화. 미천한 처지에서 태어났으면서 시로 널리 이름을 떨쳤다는 것을 기본내용으로 삼아 흥미로운 삽화를 연속시켰다. 문헌에는 오르지 않고, 구전을 통해서 사실과는 다른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구전에 의하면 신유한은 서자이고 홍길동(洪吉童)

  • 신이담 [문학/구비문학]

    초인간적인 행위를 내포하고 있는 이야기를 다룬 설화. 일반적으로 말하는 신화나 전설의 대부분이 여기에 속한다. 이 신이담은 다시 기원담(起源譚)·변신담(變身譚)·응보담(應報譚)·초인담(超人譚)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기원담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남매의

페이지 / 6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