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교통안전공단 / 交通安全公團 [경제·산업/교통]
교통사고의 예방과 관련된 사업을 전담하는 국토교통부 산하 특별법인. 「교통안전진흥공단법」에 의하여 1981년 7월에 설립되었다.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여러 사업을 통하여 교통안전관리의 효율화와 국민의 생명·재산의 보호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공단은 이 같은 목적을
교하 / 交河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파주 지역의 옛 지명. 고구려시대에는 천정구현(泉井口縣, 일명 屈火郡)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교하군으로 개칭하고 봉성현(峰城縣)과 고봉현(高峰縣)을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1018년(현종 9) 양주에 이속되었다. 1394년(태조 3) 처음으로 감무(監務)를
교하군읍지 / 交河郡邑誌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교하군(현 파주시 교하동)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표지에는 ‘광무3년5월일교하군읍지(光武三年五月日交河郡邑誌)’로 되어 있다. 내용구성은 방리(坊里)·도로(道路)·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
교하향교 / 交河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파주시 금촌동 금릉리에 있는 향교. 1407년에 파주지방의 중등교육과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기 위해서 갈현리에 창건하였다. 1731년에 이곳을 장릉(長陵) 터로 잡았으므로 현위치로 이전하였고, 1968년 담장을 보수하였으며 1971년과 1973년에
교학정례 / 敎學定例 [교육/교육]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이 편저한 사제(師弟)의 예법에 관한 책. 1책. 인본. 1757년(영조 33)의 『왕손교전상견일기(王孫敎傳相見日記)』·『오례의(五禮儀)』·『문헌비고』 등을 참고하여, 종친의 입학과 사제의 예법을 규정하였다.
교헌문집 / 僑軒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 채무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1912년 채무적의 후손인 채영필(蔡永馝)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채무적의 후손 채상기(蔡相基)·채규모(蔡奎模) 등의 발문이 있다. 4권 2책. 목활자본. 국
교헌집 / 僑軒集 [종교·철학/유학]
채무적의 문집. 목활자본, 4권2책. 1912년 후손 채상술, 채상기, 채영필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문집의 권두에는 김도화 서문과 시조로부터 저자의 현손에 이르기까지 20세를 기록한 세계도가 있고, 권말에는 후손 채상기의 발문과 채규모의 시가 있다. 권1에는 시124
교형 / 絞刑 [정치·법제/법제·행정]
죄인의 목에 형구를 사용해 죽이는 형벌 제도. 이는 사형의 방법 중에서 비교적 온건한 형태에 속하는 것이다. 고려시대부터 시행되어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다. 전근대시대에 사형의 가장 보편적인 형태는 참형과 교형이었다. 전자가 신체를 절단하는 극형이었음에 비해 후자는 신
교황 / 敎皇 [종교·철학/천주교]
가톨릭 교회의 통괄적 최고 사목자. 세계주교단의 단장, 로마교구의 교구장, 바티칸의 국가원수이다. 직무는 교도권, 신품권, 통치권으로 나뉘어진다.그러나 수위권이 강력하더라도 각 지역 주교들의 사목권한을 배체, 축소, 대행하지 못한다. 이후 수위권이 신조로써 정해진 것은
교회 / 敎會 [종교·철학/개신교]
같은 신앙을 지닌 신도들의 공동체. 주로 기독교에 대해 사용하는 말이다. 또한 그 공동체가 모이는 건물을 가리킬 때도 있다. 과거에는 주로 개신교를 지칭하는 말이었지만, 요즘에는 가톨릭에서도 교회라는 말을 공식적인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 기도교회는 동방교회,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