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이야 / 李壄 [종교·철학/유학]
1648년(인조 26)∼1719년(숙종 45).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수린, 조부는 이수이다. 부친 이형신과 모친 한득일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691년(숙종 17)에 알성 문과에 장원 급제한 후, 1694년(숙종 20) 승지로 임명되었다. 이후 승지·동지부사
이약우 / 李若愚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2∼1860). 1810년(순조 10) 진사시에 합격하고, 유일로 천거되어 1813년 세자익위사부수 등을 지냈다. 이해에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후에 예조판서·이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1841년에는 동지정사로 청나라를 다녀왔다.
이양신 / 李亮臣 [종교·철학/유학]
1689(숙종 15)∼1739(영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정구 현손, 아버지는 희조, 어머니는 김수흥의 딸이다. 1721년(경종 1)에 내시교관, 1726년(영조 2)에 한성부주부, 사복시주부와 공조좌랑을 역임하였다. 1727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부
이양연 / 李亮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1∼1853). 여 후손, 아버지는 상운이다. 1830년(순조 30) 음보로 선공감에 제수되었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후에 호조참판·동지돈령부사 겸 부총관 등에 임명되었다. 저서로《석담작해》·《가례비요》 등이 있다.
이양오 / 李養吾 [종교·철학/유학]
1737년(영조 13) 5월 6일∼1811년(순조 11). 조선 후기 유학자·문장가. 증조는 이문좌, 조부는 이시발이다. 부친 이의채와 모친 정탁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장한응의 딸이다. 1786년(정조 10) 모친상을 당한 이후 과거시험에 대한 뜻을 접고 경서
이언경 / 李彦經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 양열 증손, 할아버지는 시필, 아버지는 정린이다. 남구만의 문인이다. 1677년(숙종 3) 사마시에 합격, 1691년(숙종 17) 통덕으로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성균관학유·박사가 되었다. 대사간, 충청
이언괄 / 李彦适 [종교·철학/유학]
1494(성종 25)∼1553(명종 8).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번, 어머니는 손소의 딸이다. 대학자인 형 언적에게 글을 배웠다. 성리학과 경전에 밝았고, 후진의 교육에 힘을 기울였다. 사헌부지평에 추증되었고, 경주의 덕계사와 덕연사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농재
이언순 / 李彦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4∼1845). 1804년(순조 4)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후에 충청도관찰사·대사간·이조참판 등을 역임했다. 1835년에는 사은부사로 청나라를 다녀왔다.
이언적 / 李彦迪 [종교·철학/유학]
1491-1553. 조선 중종때의 유학자. 1514년 과거급제 이후 여러 관직을 지냈다. 1517년 조한보와 태극에 관한 논쟁을 일으킴으로써 조선 성리학사에 주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 논변에서 그는 태극을 도가나 불가적 입장에서 해석하는 것을 배격하였다. 조한보는
이여 / 李畲 [종교·철학/유학]
1645(인조 23)∼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식, 아버지는 신하, 어머니는 신후완의 딸이다. 1680년(숙종 6)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검열, 다음 해 홍문록에 등재되고 정자가 되었다. 이어 이조좌랑, 이조정랑, 이조참의, 대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