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이세필 / 李世弼 [종교·철학/유학]

    1642(인조 20)∼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항복의 증손, 이시술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재질이 뛰어났다. 형조좌랑, 삭녕군수, 김제군수, 사복시정, 장악원정을 역임하였다.영광의 백산서원과 김제의 용암서원에 제향되었다.

  • 이세화 / 李世華 [종교·철학/유학]

    1630(인조 8)∼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문신. 계록 증손, 아버지는 이재. 큰아버지 희재의 양자로 들어갔다. 1657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정언·장령, 황해도·평안도·전라도관찰사, 경상도관찰사, 형조판서, 병조판서, 예조판서, 이조판서, 지중

  • 이세환 / 李世瑍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1721년 학행으로 천거받아 연잉군의 사부가 되었다. 그뒤 후진양성에 힘을 기울여 문하에서 4인의 문과 급제자와 19인의 생원·진사를 배출하여 통정대부에 가자되었으며, 벼슬은 지돈령부사에 이르렀다. 저서로《속동유사우록》이 있다.

  • 이소 / 李熽 [종교·철학/유학]

    1583년(선조 16)∼1613년(광해군 5). 조선 중기 문신. 부친은 이성욱이다. 1606년(선조 39) 증광시 생원 2등 18위로 합격하였고, 1609년(광해군 1) 증광시 병과 3위로 급제하였다. 1610년(광해군 2) 예문관검열을 거쳐, 1612년(광해군 4)

  • 이손 / 李蓀 [종교·철학/유학]

    1439(세종 21)∼1520(중종15). 조선 전·중기의 문신. 양중 증손, 할아버지는 우생, 아버지는 수철, 어머니는 이맹상의 딸이다. 1459년(세조 5) 진사시에 합격, 선전관이 되었다. 1470년(성종 1)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예조정랑·도총부경력, 김해부

  • 이수 / 李隨 [종교·철학/유학]

    1374(공민왕 23)∼1430(세종 12). 조선 전기의 문신. 1396년(태조 5) 생원시에 제1위로 합격, 1410년(태종 10) 왕이 경명행수한 사람을 구할 때, 대사성 유백순의 천거로 뽑혔으나 사퇴하였다. 사재감정·좌군동지총제, 1422년(세종 4) 황해도관찰

  • 이수광 / 李睟光 [종교·철학/유학]

    1563-1628. 조선 인조때의 유학자. 1584년 과거급제 이후 여러 관직을 두로 거쳤다. 명나라에서 마테오리치의 <천주실의> <중우론> 등을 얻어왔다. 1614년 <지봉유설>을 간행하여 우리나라 최초로 천주교와 서양문물을 소개하였다. 또한 양명학, 불교, 도교에

  • 이수민 / 李壽民 [종교·철학/유학]

    1651(효종 2)∼1724(영조 즉위년). 조선 후기의 무신. 지란 후손이다. 1676년(숙종 2) 무과급제하여 선전관이 되고, 훈련원 주부·도총부도사·경력, 고원군수·낙안군수·장흥부사가 되었다. 1721년(경종 1) 신임사화로 노론의 대신 김창집이 유배도중 통영을

  • 이수봉 / 李壽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0∼?). 후길 증손, 할아버지는 장, 아버지는 경익, 어머니는 남두수의 딸이다. 1757년 경상도의 민정을 살피기 위하여 안핵사, 같은해 역모사건이 일어난 제주도의 도민을 위무하기 위하여 제주위유어사가 되었다. 강계부사 재임 중 심폐를 지적하

  • 이수연 / 李守淵 [종교·철학/유학]

    1693(숙종 19)∼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학자. 이황의 6세손, 실의 아들, 어머니는 의성김씨이다. 1723년(경종 3) 생원시에 합격하여 1727년(영조 3) 음보로 후릉참봉에 임명, 그 뒤 동몽교관을 지냈다. 1747년 익위사익찬에 임명되었으나 부임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