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구비문학 62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구비문학
  • 수춘잡기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에 이정형(李廷馨)이 지은 야사집. 작자는 형 정암(廷馣)과 함께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扈從), 개성에 이르러 형제가 함께 남아서 수비하다가 개성이 함락되자, 황해도지방으로 가서 의병을 일으켜 여러 번 적을 격파하는 등의 공을 세운 인물이다. 따라서 이 책

  • 숙영랑앵련랑신가 [문학/구비문학]

    함경남도 함흥 지역 병굿에서 구연되었던 서사무가(敍事巫歌). 1926년 당시 함경남도 함흥군 운전면 본궁리에서 김쌍돌이 무녀가 구송한 것을 손진태(孫晋泰)가 채록하여 『조선신가유편(朝鮮神歌遺篇)』에 수록하였다. 자손이 병이 났을 때 구연하는 무가인데, 이 무가의 주인공

  • 술 나오는 샘 [문학/구비문학]

    샘에서 저절로 술이 나왔다는 내용의 설화. 우리나라 몇 군데에 이 설화의 증거물이 실화처럼 전해 오고 있다. 술은 기호품으로 공짜 술이 생기기를 바라거나, 마셔도 마셔도 마르지 아니하는 술이 나오는 기적의 샘물을 소원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이 소원대로 전에는 술 나오

  • 숫자요 [문학/구비문학]

    숫자를 가지고 엮어나가는 민요. 어희요(語戱謠)의 일종으로, 동요 속에서 특히 발달했으며 질과 양이 풍부하다. 「숫자요」의 기원은 오래일 것이나 구체적인 기록은 「춘향전」의 ‘십장가(十杖歌)’에서 보인다. 「숫자요」는 흔히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하나는 단순한 숫자를

  • 스님과 상좌설화 [문학/구비문학]

    스님과 상좌 사이에서 생긴 일을 내용으로 한 설화. 설화 유형으로 스님과 상좌 사이의 관계가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전자는 신이담(神異譚) 중 초인담에 속하며, 후자는 소담(笑譚) 중 지략담(智略譚)에 속한다. 신이담에 속하는 유형은 초인적

  • 승가타령 / 僧歌打令 [문학/구비문학]

    1723년경에 남철이 지은 연정가사. 1723년(경종 3)경에 도사(都事)와 참판(參判)을 지낸 남철이 소년 시절 옥선(玉禪)이라는 여승을 사모하여 지은 연정가사이다. 고려대학교 소장본 『악부(樂府)』에 수록되어 전한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위항 시인인 추재 조수삼(

  • 시루말 [문학/구비문학]

    경기도 지역의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敍事巫歌). 1930년대 당시, 경기도 수원군 성호면 오산리에서 남무(男巫) 이종만(李鍾萬)의 보유 자료를 아키바[秋葉隆]가 채록하여, 1937년『조선무속의 연구』상권에 수록하였다. 오산 지역의 큰굿은 열두거리로 진행되는데,

  • 시애설화 [문학/구비문학]

    산 자가 주검을 사랑하는 내용의 설화. 이 계열의 설화는 동·서양을 통하여, 또한 고금에 걸쳐 널리 전승되고 있기도 하다. 이 설화의 문헌적 근거로서, 불경을 비롯하여 중국의 『수신기(搜神記)』·『법원주림(法苑珠林)』·『후한서』의 적미(赤眉)이야기, 일본의 『천심일본직

  • 시집살이노래 [문학/구비문학]

    시집간 여자가 시집생활에서 겪는 생각과 감정을 표현한 노래. 시집살이노래는 본래 일을 하면서 부른 노동요이나, 현재에 와서는 원래의 기능을 잃고 비기능요화하고 있다. 본래 시집살이노래는 어느 한 가지 노동을 할 때만이 아니라 여자의 모든 일, 즉 길쌈·빨래·바느질·취사

  • 식물유래담 [문학/구비문학]

    식물이 현재의 형태와 이름을 지니게 된 유래에 관한 설화. 해당 식물이 생겨나게 된 원인, 지금과 같은 특정한 모양이나 명칭을 지니게 된 이유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다. 변신담에 속한다. 문헌설화보다는 구전설화로 널리 전해지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야기 구

페이지 / 6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