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정태제 / 鄭泰齊 [종교·철학/유학]

    1612(광해군 4)∼? 조선 후기의 문신. 휴복의 증손, 할아버지는 호, 아버지는 양우, 어머니는 홍백순의 딸이다. 우의정 강석기의 사위이다. 1635년(인조 13)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되었고, 1639년 정언·지평·헌납을 거쳐 이듬해 이조좌랑을 지냈다

  • 정태진 / 丁泰鎭 [종교·철학/유학]

    항일기의 국어학자·독립운동가(1903∼1952). 조선어학회에서 조선말 《큰사전》 편찬의 일을 맡아보다가,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고를 치렀다. 광복 후 조선어학회로 돌아와 조선말 《큰사전》 편찬을 다시 시작하고, 연희대학·중앙대학·홍익대학·동국대학 등에서 국어학 강의를

  • 정태화 / 鄭太和 [종교·철학/유학]

    1602(선조 35)∼1673(현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 광필 5대손, 유길 증손, 할아버지는 창연, 아버지는 광성이다. 어머니는 황근중의 딸이다. 좌의정 치화와 예조참판 만화의 형이다.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시·문을 모아 엮은 ≪양

  • 정택하 / 鄭宅河 [종교·철학/유학]

    1693(숙종 19)∼1741(영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 한 증손, 할아버지는 광연, 아버지는 집, 어머니는 오명석의 딸이다. 식에게 입양되었다. 1715년(숙종 41) 식년문과 갑과에 탐화랑으로 급제하여 곧 종묘직장에 제수되고, 시강원의 설서를 거쳐 정언·지평

  • 정포 / 鄭鋪 [종교·철학/유학]

    1309(충선왕 1)∼1345(충목왕 1). 고려 후기의 문신. 해 손자이다. 책의 아들, 최문도의 사위이다. 정포는 1326년(충숙왕 13) 과거에 급제하였다. 전리총랑, 좌사간대부 등을 역임하였다. 최해의 문인으로 이곡 등과 사귀며 시문과 글씨에 뛰어난 재질을 보였

  • 정필규 / 鄭必奎 [종교·철학/유학]

    1760년(영조 36)∼1831년(순조 31). 조선 후기 유학자. 조부는 정유덕, 부친 정직과 모친 의성김씨 사이에서 3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은 정필각, 동생은 정필경이다. 김강한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교유한 문인으로 김희주·이종휴·이야순·이병원·유치명·유

  • 정필동 / 鄭必東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경업 증손, 할아버지는 숙, 아버지는 태구, 어머니는 김진곤의 딸이다. 민정중의 문인이다. 1684년(숙종 10)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현산현감, 사간원정언, 동부승지, 경주부윤, 우승지를 역임하였다.

  • 정하상 / 丁夏祥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천주교인·순교자(1795∼1839). 정약종의 둘째 아들, 정약용의 조카이다. 로마교황에게 직접 청원문을 올려 선교사 파견을 요청하였고, 이에 1831년 조선교구가 설정되었다. 이후 주교 밑에서 전교활동을 도와 교회발전을 위하여 헌신, 기해박해로 순교하였

  • 정헌용 / 鄭憲容 [종교·철학/유학]

    1795년(정조 19)~졸년 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부는 정석세, 조부는 정우순, 부친 정동만 차남으로 태어나 정동석에게 입양되었다. 외조부는 목사 이서중, 생외조부는 예판 이숭호, 처부는 대사간 박종형이다. 벼슬은 음관으로 1863년(철종 14) 강화부유수에 제

  • 정형익 / 鄭亨益 [종교·철학/유학]

    1664(현종 5)∼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광경 현손, 지화 증손, 할아버지는 재후, 아버지는 제선, 어머니는 이상연의 딸이다. 1719년 증광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자궁에서 통정대부로 오르고, 동부승지가 되었다. 이후 도승지, 대사성, 대사헌 등

페이지 / 38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