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녹봉 / 祿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조선시대에 관리가 국가로부터 받던 물질적 급여. 과전(科田)이나 직전(職田) 등의 수입과는 구별되며 연봉이나 월봉으로 받는 미곡·포 등 현물로 지급되던 급료제도이다.

  • 녹봉문집 / 鹿峯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유언일의 시·서(書)·설·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3권 2책. 필사본. 지은이가 생전에 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88수, 권2·3에 설 1편, 변(辨) 1편, 잡저·서(書) 각 3편, 상량문 1편, 비문 3편, 소·장

  • 녹차 / 錄差 [정치·법제/법제·행정]

    신원을 확인하여 등록하고 임명. 중국으로 파견되는 삼사(사·부사·서장관)가 데리고 갈 자제와 가노는 의정부에서, 교린국에 파견되는 사신의 경우에는 이조에서 각각 녹차하였다.『통문관지』에 의하면 정사와 부사는 서자·마두·좌견마·일산봉지 각 1명과 인로 2명, 농마두·건

  • 녹차집 / 綠此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황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2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연활자본. 1932년 이종소(李鍾韶)·강신용(姜信鏞)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최영년(崔永年)의 서문과 권말에 강신용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시, 권2

  • 녹천소차초록 / 鹿川疏箚抄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유의 소차를 초록하여 간행한 언행록. 3권 3책. 목활자본. 간행연대 및 편자는 미상이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소(疏) 60편, 차(箚) 12편, 권2에 차 32편, 소 9편, 권3에 소 27편, 의(疑) 1편, 의(議) 28편 등

  • 녹천유고 / 鹿川遺槁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의병장 고광순의 서(書)·격문·애사·제문 등을 수록한 문집. 2권 1책. 석인본. 1974년 그의 손자인 영준(永俊)·광수(光秀)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윤동(金潤東)·조경한(趙擎韓)·이가원(李家源) 등의 서문이 있고, 권

  • 녹패 / 祿牌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이조와 병조에서 왕명을 받아 종친·문무관원에게 녹과를 정해 내려주는 증서. 녹패에 기재된 녹과에 의해 호조에서는 녹봉인수증인 녹표(祿標)를 발급하였다. 관원은 이 녹표를 가지고 광흥창(廣興倉)에 가서 녹봉을 인수하였다. 조선시대의 녹과는 제1과부터 제18과까

  • 녹훈도감의궤 / 錄勳都監儀軌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각종 모반 및 반란사건을 고변하거나 평정한 공이 있는 사람에 대한 녹훈을 기록한 의궤. 규장각도서에는 ≪소무영사녹훈도감의궤 昭武寧社錄勳都監儀軌≫·≪녹훈도감의궤≫·≪분무녹훈도감의궤 奮武錄勳都監儀軌≫ 등 3종의 ≪녹훈도감의궤≫가 있다. ≪소무영사녹훈도감의궤≫는

  • 논맹인물유취 / 論孟人物類聚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이만수·박준원 등이 『논어』와 『맹자』에 나오는 인물들의 성·명·자·출신지·경력·언행 등을 수록한 인명록. 1책(29장). 고활자본(정리자). 1800년(정조 24) 왕명에 따라 규장각 직제학(直提學) 이만수(李晩秀)를 비롯, 박준원(朴準源)·김조순(金

  • 논맹혹문정의통고 / 論孟或問精義通考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송시열이 『논어』와 『맹자』의 주요 장구를 발췌하여 1720년에 간행한 주석서. 중국 송나라 주희(朱熹)의 『논맹혹문』과 정호(程顥)·정이(程頤)·장재(張載)를 중심으로 범조우(范祖禹)·여계명(呂啓明)·여대감(呂大臨)·사량좌(謝良佐)·유작(游酢)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