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총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정유귀 / 鄭游龜 [종교·철학/유학]
1695(숙종 21) - 1877(고종 33). 아버지는 석후, 어머니는 남양홍씨이다. 고려 때 대장군을 지낸 의립의 후손이고, 5대조는 좌의정 정간공 탁으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인물이다. 부친은 석후이며 모친은 남양 홍씨로 처겸의 딸이다. 향시에는 합격하였으나 이
정유악 / 鄭維岳 [종교·철학/유학]
1632(인조 10)∼? 조선 후기의 문신. 지겸 증손, 할아버지는 환, 아버지는 뇌경, 어머니는 윤상형의 딸이다. 1666년(현종 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75년(숙종 1) 승지로 있을 때, 환관이 인사와 상벌 등에 간여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왕에게 간언
정유지 / 鄭維地 [종교·철학/유학]
1601(선조 34) - 1682(숙종 8) 조부는 정윤소, 아버지는 서, 어머니는 영해박씨이다. 방담 권강과 교유했으며, 임진왜란이 터지자 종제 정헌과 함께 화왕산으로 가서 곽재우의 의병활동을 도왔다. 1642년에 식년문과를 거쳐 승문정자가 되었다. 1646년 성균
정윤목 / 鄭允穆 [종교·철학/유학]
1571(선조 4)∼1629(인조 7).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탁, 어머니는 반충의 딸이다. 정구·유성룡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세 전에 경사자집의 많은 서책을 읽었고, 시문에 뛰어나 일가의 체격을 이루었다.1616년(광해군 8) 소촌도찰방에 취임하였으며,
정윤영 / 鄭胤永 [종교·철학/유학]
1833년(순조 33)∼1898년. 조선 말기의 유학자. 아버지는 현풍, 어머니는 강시면의 딸이다. 큰아버지 현택에게 입양되었다. 임헌회의 문인이다. 전우·신두선·심의윤·윤치중·서정순 등과 교유, 이항로학파의 김평묵·유중교·유시수·홍대심과도 교유하였다. 저서로는《후
정윤용 / 鄭允容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학자(1792∼1865). 경사에 밝아 많은 저술이 있는데 《자류주석》 4권은 국문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으며, 그 외에 《북로기략》 4권,《가학편》 6권,《동래가록고》 20권,《수암만록》 28권,《사문편》 46권,《종선록》 44권,《심의고
정윤해 / 鄭允諧 [종교·철학/유학]
1553년(명종 8)∼1618년(광해군 10). 부친은 정련, 숙부가 정탁이다. 어려서부터 문사에 능하고 예법을 지켜 월천 조목과 한강 정구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영달을 구하지 않았으며, 벼슬은 참봉을 지냈다. 저술에 시문집《서귀자선생유고》가 있고, 함창의 청암서원에
정은모 / 鄭殷模 [종교·철학/유학]
1870년(고종 7) 5월 15일∼1953년. 일제강점기 유학자‧독행(篤行). 자는 주현(周顯), 호는 운림(雲林), 본관은 동래(東萊), 포내리(浦內里) 출신이다. 과거에 뜻을 두었으나 혼탁해져가는 세상을 보고 집에서 효도하고 제사를 받들고, 자신을 깨끗하게 하는 일
정의림 / 鄭義林 [종교·철학/유학]
1845년(헌종 11)∼1910년(융희 4). 조선 말기의 유학자. 노사 기정진에게 유학을 배웠다. 스승인 노사의 문집 간행에 관여하였으며 스승의 학설을 옹호하는 글을 남겼다. 문집으로《일신재집》이 전한다.
정의번 / 鄭宜藩 [종교·철학/유학]
1560(명종 15)∼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 아버지는 의병장 세아이다. 1585년(선조 18)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아버지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영천에서 승리, 이어 경주에 진격하여 싸우다가 좌장군 박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