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총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참의 / 參議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육조의 정3품 당상관직. 정원은 이·호·예·병·형·공조에 각 1인씩 총 6인이다. 각 조의 차차석 관원으로 참판과 함께 판서를 보좌하는 좌이관(佐貳官)이었다. 지금의 차관보에 해당한다. 그러나 단순한 보좌관이 아니라 각 조의 3당상 중 1인으로서 판서와 거의
참지 / 參知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병조의 정3품의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정무기관으로 육조가 있었으나 이 가운데 국방과 직결되는 병조의 업무량이 가장 많아 처음에는 지병조사(知兵曹事)를 두었다가 참지로 개칭하여 법제화하였다.
참찬 / 參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2품 관직. 참찬은 1415년(태종 15) 1월에 육조직계제로 의정부기능의 약화와 관련된 관제개편으로 의정부찬성사(종2품, 2인)가 좌우참찬으로 분리되어 그 중 우참찬이 개칭되면서 성립되었다. 그 뒤 12월에는 정원이 2인으로 증가되었다. 1896
참판 / 參判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육조의 종2품 관직. 각 조에 1원이 있어 육조의 장관인 판서를 정경(正卿)이라 한 데 대하여 차관으로서 아경(亞卿)이라 하였다. 육조직계제를 강화하기 위해 1432년(세종 14) 3월 참판·참의 각각 1원을 증원하였다. 그러나 1434년 다시 참판 1원을
참하관 / 參下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무산계에서 정7품 무공랑·적순부위 이하의 문무잡관직의 통칭. 참하관은 중앙과 지방의 각종 실무를 담당하는 하급관리로서 양반과 비양반참하관 사이에는 많은 차별이 있었다. 양반참하관은 근무일수가 짧고 과거·음서·특지 등에 의하여 승진이 빨랐다. 반면 비양반참하관
창성향교 / 昌城鄕校 [교육/교육]
평안북도 창성군 창성면 인산동에 있는 향교. 조선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東齋)·서재(西齋)·교관실·제기고(祭器庫)·동서 협문(夾門) 등이
창신교위 / 彰信校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의 종5품 하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종5품 상계는 현신교위(顯信校尉), 하계는 창신교위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창천서원 / 滄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천시에 있었던 서원. 창건연대는 미상이다. 조선시대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득룡(李得龍)·이덕린(李德麟)·손응현(孫應晛)·조상치(曺尙治)·조한보(曺漢輔)·조한영(曺漢英)·조선장(曺善長)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
채무적 / 蔡無敵 [종교·철학/유학]
1500(연산군 6)∼1554(명종 9).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윤권. 1528년(중종 23) 생원시에 합격, 1533년 장악원주부, 1535년 종부시주부, 연천현감이 되었다. 1546년(명종 1) 서부주부, 1548년 사섬시의 주부가 되었다가 1550년 무주현
채무택 / 蔡無擇 [종교·철학/유학]
?∼1537(중종 32). 조선 중기의 문신. 신보의 증손, 할아버지는 연, 아버지는 준, 어머니는 김여영의 딸이다. 1524년(중종 19)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지평·부교리·장령·응교 등을 거쳐 1535년 대사간, 그리고 이듬해 부제학이 되었다. 김안로·허항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