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이단하 / 李端夏 [종교·철학/유학]

    1625(인조 3)∼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섭 증손, 할아버지는 안성, 아버지는 식, 어머니는 심엄의 딸이다. 1662년(현종 3)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했다. 공조좌랑, 이조참의, 홍문관제학, 예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 이달선 / 李達善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1489년(성종 20)에 설서·전적이 되어 경연에서『주역』을 강하는 데 막힘이 없었다. 1495년(연산군 1)에 장령이 되어 왕이 공의를 받아들이지 않고 혼자만의 편견을 고집하여 스스로 옳다고 하는 것은 잘못, 또 임금의 호령이 한결같

  • 이담 / 李湛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종실(?∼1786). 인의 아들, 정조 비 효의왕후가 소생 없이 갑자기 죽자, 홍국영에 의해 효의왕후의 양자로 완풍군·상계군으로 개봉되며 후계자로 부각되었다. 이후 홍국영의 미움을 받아 역모로 몰려 자결하였는데, 홍국영 실세 후, 일가가 모두 강화에 유배

  • 이당규 / 李堂揆 [종교·철학/유학]

    1625(인조 3)∼1684(숙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희검 증손, 할아버지는 수광, 아버지는 성구, 어머니는 권흔의 딸이다. 1668년(현종 9) 의성현령이 되었다. 이 해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조참판, 대사간, 부제학, 함경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

  • 이대립 / 李大立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무신. 선조 때 훈련원주부 충무공 이순신 장군 휘하에서 공을 세웠다. 사촌 이응춘, 이응호가 순절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유기된 시체를 탈환하기 위해 적진에 뛰어들었다가 적탄을 맞아 순국하였다. 병조참의로 추증되었으며 선무원종공신으로 녹훈되었다.

  • 이대성 / 李大成 [종교·철학/유학]

    1651(효종 2)∼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유간 증손, 할아버지는 경직, 아버지는 정영, 어머니는 유기선의 딸이다. 1699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수찬·부교리·지평·부수찬 등의 언관을 역임하다가 1708년 이조좌랑에 임명되었다. 이후 이조참의,

  • 이덕록 / 李德祿 [종교·철학/유학]

    1677년(숙종 3)∼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부친은 이학이다. 1721년(경종 1) 신축증광사마시에 생원 3등으로 합격하였다. 도산의『언행록』두 권이 있었는데, 그는 이본을 가지고 매우 엄격하게 분석하고, 도를 논한 후 돌려보냈다. 경주에 사마소가 없어지자 사마시

  • 이덕무 / 李德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실학자(1741∼1793).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개성이 뚜렷하며 글씨와 그림에 능했으나, 서자라서 크게 등용되지 못했다. 박제가·유득공·이서구와 함께《건연집》이라는 사가시집을 내었고, 박지원·홍대용 등 북학파실학자들과 교유하였으며, 정조 때 초대 규장각

  • 이덕수 / 李德壽 [종교·철학/유학]

    1673(현종 14)∼1744(영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 행건 증손, 할아버지는 만웅, 아버지는 징명, 어머니는 심약한의 딸이다. 박세당·김창흡의 문인이다. 1713년(숙종 39)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조좌랑, 대사성, 대사헌, 이조참판, 형조판서,

  • 이덕수 / 李德洙 [종교·철학/유학]

    1577(선조 10)∼1645(인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 언홍 증손, 할아버지는 소, 아버지는 도, 어머니는 이석명의 딸이다. 현감 준에게 입양되었다. 김장생의 문인이다. 1608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정자, 부수찬, 우부승지, 승지, 좌부승지,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