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광주궁뜰유적 / 廣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궁평리에 있는 구석기시대·청동기시대·백제시대의 유적. 한강의 한 줄기인 노곡천으로 둘러싸인 언덕과 그 위의 충적층에 놓여 있다. 1985년 12월 7일부터 1986년 1월 22일까지 실시된 중부고속도로 공사 구간의 지표조사에서 고인돌무덤 3기, 돌
광주대구고속도로 / 光州大邱高速道路 [경제·산업/교통]
광주광역시와 대구광역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고속국도 제9호선으로 1980년 9월에 건설 계획을 세우고, 1981년 10월에 착공하여 1984년 6월에 준공하였다. 2002년 5월 1일 고속도로 노선번호 체계가 새롭게 변경됨에 따라 고속국도 제9호에서 제12호로 바뀌었
광주덕풍리유적 / 廣州德豊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옛지명 광주군 구천면 덕풍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물 산포지. 토기는 점토질 바탕흙에 굵은 석영알갱이가 섞인 전형적인 민무늬토기로 완형(完形)은 없고 아가리ㆍ몸통과 바닥조각들만 발견되었다. 아가리조각은 모두 곧은 입술로 입술 가까이에 구멍무늬가
광주목지 / 光州牧誌 [지리/인문지리]
조선 정조 연간에 간행된 것으로 보이는 전라도 광주목(지금의 광주광역시) 읍지. 1책. 사본. 표지에는 ‘光州牧誌(광주목지)’로 되어 있다. 본지는 1·2권으로 되었다. 내용 구성은 권1에 건치연혁(建置沿革)·직관부속직(職官附屬職)·방리(坊里)·호구(戶口)·전결(田結
광주무등경기장 / 光州無等競技場 [예술·체육/체육]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에 있는 종합 스포츠 경기장. 7개의 주요 경기장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64년 1월에 착공하여 공사비 약 13억 5000만 원을 들여 1965년 9월에 완공하였다.이 시설에서 1965년 제46회 및 1977년 제58회 전국체육대회가 두 차례에 걸
광주미사리선사유적 / 廣州渼沙里先史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기도 하남시 미사리에 있는 주거지 유적. 사적 제269호.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 및 원삼국시대를 거쳐 초기 백제시대에 이르는 여러 시기의 유구(遺構)가 층위를 이루고 있는 취락유적이다. 이 유적은 1960년김원용(金元龍)에 의해 신석기시대의 유적으로 학계에 보고된
광주민주화운동 / 光州民主化運動 [정치·법제/정치]
1980년 5.17비상계엄확대조치에 항의하는 학생들의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광주에 투입된 공수특전단의 초강경유혈진압에 맞서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광주시민들이 전개한 민주화항쟁. 한국 현대사 최대의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1988년 이후 광주민주화운동으로 정식화
광주부읍지 / 廣州府邑誌 [지리/인문지리]
1899년에 편찬된 경기도 광주부(지금의 광주군) 읍지. 표지에는 ‘光武三年五月日廣州府邑誌(광무3년 5월일 광주부읍지)’로 되어 있다. 1책. 필사본. 내용 구성은 방리(坊里)·도로(道路)·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형승(形勝)·성지(城池)·관직(官職)·산천(山川
광주산맥 / 廣州山脈 [지리/자연지리]
태백산맥(太白山脈)의 금강산(金剛山) 부근에서 시작하여 남서방향으로 서울부근까지 이르는 산맥. 산맥의 북서쪽은 추가령구조곡(楸哥嶺構造谷), 남동쪽은 북한강(北漢江)이 경계를 이룬다. 즉 북한강 유역과 임진강(臨津江) 유역 사이의 산줄기라고 알려져 있다. 서울 부근의 북
광주송암동주거지 / 光州松巖洞住居址 [역사/선사시대사]
광주광역시 서구 송암동 가산(佳山)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집터 유적. 유물은 바닥 전면에 분포되어 있으나, 가운데 중심이 되는 기둥구멍을 기점으로 하여 북서쪽에 화덕자리와 돌부스러기 등이 몰려 있는 것으로 보아 부엌의 위치에 해당하는 것 같으며, 반면 동남쪽은 숫돌을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