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경석자지문 / 敬惜字紙文 [언어/언어/문자]
동문사내의 계모임인 석자회(惜字會)에서 만든 계안(契案)을 이송서(李松西)가 번역한 책. 1책. 활자본. 1882년(고종 19) 경군문에서 간행하였다. ‘경석자지문’이란 문자 그대로 ‘글자 쓴 종이를 공경하여 아끼는 글’로서 관성교(關聖敎)의 정신에 입각하여 글자 쓴
경석집 / 敬石集 [종교·철학/유학]
개항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유학자 임헌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8년에 간행한 시문집. 8권 4책. 석인본. 1958년에 아들 형재(衡宰)와 권순명(權純命)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순명의 서문과 이보림(李普林)의 발문이 있다. 전주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경성군읍지 / 鏡城郡邑誌 [지리/인문지리]
1899년에 편찬된 함경북도 경성군 읍지. 1책. 지도가 붙은 사본. 표지에는 '咸鏡北道鏡城郡邑誌(함경북도경성군읍지)'로 되어 있다. 종래 전해오던 경성의 읍지를 참고하고 갑오(甲午)·을미(乙未) 개혁 후 지방행정에서 변경된 내용을 읍지 기록 순서에 따라서 ‘원(原)
경성신문 / 京城新聞 [언론·출판/언론·방송]
1898년에 창간된 상업신문. 주 2회간으로 매주 수요일과 토요일에 발행되었으며, 순국문만을 사용하였고, 소형판 2면으로 편집체재는 3단제를 택하였고, 1단은 36행, 1행은 20자였다. 『독립신문』과 대체로 비슷한 편집방식을 사용하여 제호 밑에 논설을 싣고, 이어 관
경성일보 / 京城日報 [언론·출판/언론·방송]
구한말부터 일제강점기에 걸쳐 조선총독부 기관지로 경성에서 발행된 일어신문. 《한성신보》와《대동신보》를 합병시켜, 1906년 9월 1일에 창간하였다. 창간 당시는 국한문판과 일문판으로 발행하였으나, 1907년 4월 21일부터 국한문판은 중지하고(국한문판 지령 185호)
경성제국대학 / 京城帝國大學 [교육]
1924년 일제가 경성부에 설치한 관립 종합대학.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을 설치하는 것이 이롭지 못하다고 판단 억압정책을 폈다. 그러나 3.1운동 이후 조선인의 고등교육열이 높아지자, 법문학부, 의학부로 구성된 경성제국대학을 세우고 1924년 예과를
경성직뉴주식회사 / 京城織紐株式會社 [생활/의생활]
1911년 서울에 설립되었던 섬유 업체. 발기인은 안태영·김성기·김용태·조종서·이정규·김용달·박승원 등 8명이었고, 자본금은 10만원, 총 주식 수는 2000주였으나 그 반은 공모할 예정이었다. 1912년 5월 사장에 윤치소, 전무에 안태영, 이사에 김용태, 감사에
경세가 / 警世歌 [문학/고전시가]
1912년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규방가사.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모두 440여 구이다. 작품 끝에 ‘단긔 4245년 님자 츈’이라고 적혀 있는 점과 “경술 칠월 다다르니 무국신민 되었도다. 사천년 단기고국 일조합병 왼일인고.”라고 한 내용으로 보아 1912년에 지은
경세종 / 警世鍾 [문학/현대문학]
김필수(金弼秀)가 지은 신소설. 유산객(遊山客)들이 엿보는 가운데, 산속에서 여러 동물들이 친목회를 가진다. 이 모임에는 갖가지 동물들이 참석하고 있으나 주로 토론에 참여하여 발언하는 것은 사슴을 비롯한 원숭이·까마귀·제비·올빼미·고슴도치·박쥐·공작·나비·개미·자벌레·
경신고등학교 / 儆新高等學校 [교육/교육]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경신고등학교의 연원은 1885년 미국 기독교 북장로회 선교사 언더우드(H. G. Underwood, 한국명 원두우)가 한성 정동 자택에서 몇몇 학생들을 모아놓고 가르치기 시작한 데에서 비롯한다. 1905년 경신학교로 개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