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고전시가 84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고전시가
  • 반경무도사 / 頒慶舞蹈辭 [문학/고전시가]

    1819년(순조 19)이휘령(李彙寧)이 지은 가사. 『셔씨뉵녀명ᄒᆡᆼᄃᆡ졀녹』에 합철되어 전한다. 저자가 32세 때에 동몽교관(童蒙敎官)으로 서울에 가서 세자(익종)의 가례식에 참례(參禮)하고 그 광경을 읊어 경축한 것이다. 이본에 따라 구수(句數)가 조금 다르나, 『

  • 반조화전가 / 返噪花煎歌 [문학/고전시가]

    상대편을 조소하는 사연을 섞어 해학미를 띠게 하는 화전가의 내용에 대하여 다시 조롱조(噪弄調)의 사연을 섞어 답하는 가사. 화전가는 주로 동족부락의 남녀 노소가 함께 모여 봄철의 아름다운 산천을 찾아 하루 해를 즐길 때 꽃전을 마련하여 놀이하는 광경과 쌓였던 회포를 풀

  • 반화전가 / 反花煎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영남지역에 전해지던 규방가사로 총 469구이다. 봄철 여인들의 화전놀이에서 이루어지는 화전가의 일종이다. 중국으로부터 시작하여 역대 여인의 행실과 내칙(內則)을 법 삼아 살아야 하는 여인의 도리를 말하고, 등산임수(登山臨水)하는 일은 여인이

  • 반회심곡 / 半回心曲 [문학/고전시가]

    1960년대 무형문화재 조사 과정에서 채록된 불교가사. 4·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총 458구. 범패(梵唄) 분야의 인간문화재인 이경협(李璟協, 1901~?)이 구술한 작품이다. 『화청(和請)』(문화재관리국,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65호, 1969)에 국한문

  • 방등산 / 方等山 [문학/고전시가]

    신라 말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백제 노래.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노래의 내력만이 『고려사』 권71 삼국속악조(三國俗樂條)에 전한다. 그리고 작품명과 지명들은 다르지만 같은 내력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전한다. 그러나 작품의 내력은 두 기록이

  • 방물가 / 房物歌 [문학/고전시가]

    십이잡가(十二雜歌)의 하나. 모두 14마루. 노래는 도드리 장단으로 잡가가 으레 그렇듯 규칙적인 율조보다는 대화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러 방물을 열거하는 따위의 수법은 사설시조의 기법을 연상케 한다. 이별을 거부하는 여인에게 여러가지 방물을 주어 타이르는 노래이다.

  • 방옹시여 / 放翁詩餘 [문학/고전시가]

    신흠(申欽)이 계축옥사(1613년)에 연루되어 김포로 쫓겨났던 시기에 지은 시조 작품 30수. 「방옹시여」의 시조 작품들은 신흠(1566∼1628)의 문집에 수록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18세기 이후 가객들이 편찬한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 등의 가집에

  • 방초록 / 芳草錄 [문학/고전시가]

    19세기 후반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편자 미상의 필사본 가집(歌集). 이 가집에 수록된 시조 작품은, 남녀 간의 애정(愛情, 33수)과 이별(離別, 10수), 한가로운 가운데 즐기는 한정(閑情, 27수)과 유흥(遊興, 22수)·취흥(醉興, 19수) 등을 다룬 내용이

  • 백광홍 / 白光弘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의 문인. 아버지는 백세인(白世仁)이며 어머니는 광산 김씨로 첨정(僉正)김광통(金廣通)의 딸이다. 아우 백광안(白光顔)과 백광훈(白光勳) 및 종제 백광성(白光城) 등 한 집안 4형제가 모두 문장으로 칭송을 받았다. 1522년(중종 17) 전라도 장흥에 있는 사

  • 백구사 / 白鷗詞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모두 79구. 벼슬에서 쫓겨난 처사가 대자연 속을 거닐면서 아름다운 봄날의 경치를 완상하는 내용이다.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에 실려 전하며, 『남훈태평가』에도 비슷한 내용의 가사가 수록되어 있다. 「백구사」는 장단은 도드리이고, 모두 8절로

페이지 / 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