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광운대학교 / 光云大學校 [교육/교육]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1934년 5월 20일 조광운(曺光云)이 전자산업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조선무선강습소(朝鮮無線講習所)로 설립하였다. 1940년 조선무선공공학원으로 개칭하였고, 1963년 12월 16일 동국전자공과대학으로 인가를
광운지보 / 廣運之寶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사용하던 어보(御寶). ‘勅命之寶’, ‘大朝鮮國大君主寶’, ‘大君主寶’ 등이 있어서 각각 용도에 따라 찍었다. 광운지보는 천은(순은)으로 주조해 금으로 도금했는데, 방(方)은 3치5푼(약 9.6㎝), 대고(臺高)는 9푼(약 2.5㎝)이고, 귀뉴(龜鈕)의 길이는
광장 / 廣場 [문학/현대문학]
최인훈(崔仁勳)이 지은 장편소설. 1960년 『새벽』지 10월호에 발표되었다. 이 작품은 광복과 동시에 남북이 분단됨으로써 야기되는 이념의 분열을 주제로 하였다. 주인공 이명준은 젊은 철학도로서 가치 선택을 위한 지적 모험을 감행하게 된다. 그는 친지인 한 은행가의 집
광재물보 / 廣才物譜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 편자 미상의 일종의 백과전서. 4권 4책. 필사본. 간행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1798년(정조 22)에 이성지(李成之)가 엮은 『재물보』를 확대한 것으로 미루어볼 때, 그 보다는 후대에 나온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1998년 홍문각에서 영인하
광정대부 / 匡靖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정2품 문산계. 종2품계인 금자광록대부의 명칭이 바뀐 것으로 1275년(충렬왕 1)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1308년에는 정2품이 되었고, 1310년에는 종2품의 상계가 되었다.
광정원 / 光政院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왕명의 출납과 궁중의 숙위·군기를 맡아보던 관청. 991년(성종 10) 10월 병관시랑 한언공의 건의에 따라 설치된 중추원은 1275년(충렬왕 원년) 밀직사로 바뀐 뒤, 1298년 5월 충선왕에 의하여 광정원으로 개칭되었다.
광제가 / 廣濟歌 [문학/고전시가]
19세기 말에 창작된 작자 미상의 불교가사. 4·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총 304구. 내용상 서사와 본사로 구성되어 있다. 서사(1∼24구)는 ‘사바세계 중생들’이라는 청자를 설정하여 전체적인 요지를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본사의 전반부(25∼198구)는 인간사
광제비급 / 廣濟秘笈 [종교·철학/유학]
1790년(정조 14)에 이경화가 간행한 의서. 4권 4책. 목판본. 정조 때 함경도관찰사인 이병모가 지방 사람들의 의료혜택을 위하여 이경화에게 이 책을 편술하게 하였다. 다른 의서와 다른 점은 주로 임상과 직결되는 구급·잡병·부인병·소아병에 역점을 두었으며, 특히 단
광제산봉수대 / 廣濟山烽燧臺 [경제·산업/통신]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덕무리에 있는 봉수대. 경상남도기념물 제158호. 광제산 봉수대는 진주를 통과하는 남해안의 위급한 상황을, 서울로 전달하는 내륙의 중요한 통신수단 역할을 한 조선 세종 때에 축조된 것이다. 이 봉수대는 남으로 망보산(望普山)봉수, 북으로 단성의
광제서원 / 廣濟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계원리에 있는 서원. 남양홍씨(南陽洪氏) 문중에서 고려 은청광록대부상서(銀靑光祿大夫尙書) 홍의(洪毅)와 고려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수사공상서(守司空尙書) 보문각(寶文閣) 태학사(太學士) 홍관(洪灌)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세울 당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