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광양옥룡사지 / 光陽玉龍寺址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사찰터.사적. 절터는 해발 1217.8m인 백운산의 한 지맥으로 뻗은 해발 505.8m의 백계산 남쪽 중턱에 자리잡고 있다. 절터 주변에는 동백나무가 가득하여 절경을 이루고 있다.옥룡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는데,

  • 광양읍수와 이팝나무 / 光陽邑藪─ [과학/식물]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인동리에 있는 이팝나무. 천연기념물 제235호. 높이 17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3.1m인 노거수로서 나무의 나이는 미상이다. 줄기는 땅에서 2.5m 정도 된 곳에서 둘로 갈라졌는데 갈라진 부분의 밑둘레는 각각 2.3m와 2m이다. 나무의 크기

  • 광양읍지 / 光陽邑誌 [지리/인문지리]

    1858년(철종 9)경에 편찬된 전라도 광양(지금의 광양시) 읍지. 후사본(後寫本). 1책. 필사본. 내용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읍호(邑號)·관직(官職)·방리(坊里)·성지(城池)·산성(山城)·산천(山川)·성씨(姓氏)·풍속(風俗)·학교(學校)·서원(書院)·단묘(壇廟

  • 광양제철선 / 光陽製鐵線 [경제·산업/교통]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과 태금사이에 부설된 지선 철도. 길이는 19.㎞이다. 1985년 7월에 착공하여 1987년 9월에 개통하였으며, 약 569억원의 공사비가 소요되었다. 광양제철소의 건설계획에 따라 경전선의 진상과 제철소 사이의 11㎞와 옥곡 삼각선 2㎞의 제철선을

  • 광양향교 / 光陽鄕校 [교육/교육]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우산리에 있는 향교. 1443년(세종 25)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13년 군수 남내원(南來爰)이 지방유림과 협력하여 대성전을 먼저 중건하고 연차적으

  • 광업 / 鑛業 [경제·산업/산업]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불문하고 지하 및 지표상에 부존하는 고체·액체·기체 상태의 천연광물 채취·채굴·추출·손질 및 품질개선 활동. 광업에는 석탄·원유·천연가스 및 기타 비금속광물과 금속광물의 탐사, 광산개발·시굴·채굴 및 추출활동과 광업활동에 통상적으로 결합되어 수행되

  • 광업법 / 鑛業法 [역사/근대사]

    1906년 6월 29일에 공포된 광업에 관한 법령. 대한제국 의정부와 농상공부 명의로 발표되었으나 실제로는 통감부에서 관장하였다. 전문 32조로 되어 있으며, 1906년 9월 15일부터 시행되었다. 일본은 광업법을 통해서 기존의 궁내부 소속 광산제도를 없애 자유롭게 한

  • 광역경제권 / 廣域經濟圈 [지리/인문지리]

    지역 간 연계 및 협력을 통해 지역경쟁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경제·산업권의 범위와 문화적 동질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한 지역발전권역. 광역경제권은 그동안 광역시와 광역도 간에 분절되었던 경제·산업적 연계관계를 복원하여 지식의 창출·확산·활용 시스템을 활

  • 광역도시권 / 廣域都市圈 [지리/인문지리]

    중심도시와 중심도시 주변지역의 넓은 범위에 도시의 기능과 활동이 전개되는 공간. 소규모 도시에는 주택, 상점, 공장, 논밭, 공터 등이 무질서하게 혼재한다. 인구가 늘어나고 도시 활동이 다양해져 중간규모 도시로 변모되면, 농업적 요소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거주·상업·공

  • 광염소나타 / 狂炎─ [문학/현대문학]

    김동인(金東仁)이 지은 단편소설. 1930년 1월 1일부터 1월 10일까지 『중외일보(中外日報)』에 발표되었다. 「광화사(狂畵師)」와 더불어 김동인의 미의식 및 예술관을 잘 드러낸 작품이다. 이 소설은 사회에서 거의 용납되기 힘든 극단적인 미의식을 주장한 작품으로, 인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