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광양 마로산성 / 光陽 馬老山城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시기에 초축된 협축식 성곽.산성. 사적. 사적 제492호. 광양 마로산성은 백제에 의해 축성되어 통일신라시대까지 사용된 성곽으로 5차에 걸친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결과 성벽과 건물지 17동, 문지 3개소, 석축 집수정

  • 광양 중흥산성 삼층석탑 / 光陽中興山城三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중흥산성 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일반형 3층 석조 불탑.석탑. 보물. 보물 제112호. 높이 3.8m. 2층 받침돌 위에 3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올린 일반적인 모습의 석탑이다. 석탑 앞에는 안상(眼象)을 새긴 직사각형의 배례석(拜禮石)이

  •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 光陽中興山城雙獅子石燈 [예술·체육/건축]

    광주광역시 북구 국립광주박물관에 소장된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석등.국보. 국보 제103호. 높이 2.5m. 원래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 중흥산성 안의 암자에 있었다. 그러나 일제시대에 일본인이 불법적으로 일본으로 반출하기 위해 경복궁에 옮겨 놓았던 것을 지금은

  • 광양광산 / 光陽鑛山 [경제·산업/산업]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사곡리에 있었던 금·은 광산.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의 지리산편마암복합체(智異山片麻岩複合體) 중 화강암질편마암(花崗巖質片麻岩)·반상변정질편마암(斑狀變晶質片麻岩) 및 혼성편마암(混成片麻岩)으로 구성된 변성암과 경상계(慶尙系) 하부낙동층군(下部洛東層群,

  • 광양국가산업단지 / 光陽國家産業團地 [경제·산업/산업]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 일원에 있는 산업단지. 남해고속도로와 근접하고 광주·마산에서 약 100㎞, 광양읍에서 20㎞ 거리에 떨어져 있으며 순천과는 자동차로 20분 거리에 있다. 광양제철소에서 약 1.2㎞거리에 입지해 있으며 연관 공업의 집단화로 철강 제품의 생산성 제고

  • 광양만 / 光陽灣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와 광양시 남부에 있는 만. 만 입구는 동쪽으로 열려 있으며 입구에는 묘도(猫島)가 있다. 입구의 폭은 약 9㎞, 만입은 약 17㎞이며 수심은 2∼30m로서 곳에 따라 심한 차이를 나타낸다. 1960년대 말 중화학기지인 여천공업기지가 건설되기 전까지만 해

  • 광양민란 / 光陽民亂 [역사/근대사]

    1869년 3월전라남도 광양에서 일어난 민란. 70여 명의 난민과 가담자 등 300여 명이 광양현성을 침입하여 군기고를 습격하고 현감 윤영신을 사로잡고 인부(印符)를 탈취한 뒤 사창(社倉)을 부수고 백성들에게 곡식을 나눠주었던 내용이다. 주모자들은 서울로 압송되어 모반

  • 광양성황리삼층석탑 / 光陽城隍里三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광양시에 있는 고려시대 3층 석조 불탑.석탑. 시도유형문화재. 높이 3.5m.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5호. 고려시대 석탑의 일반형식에 속하는 탑으로, 지대석과 하층기단 중심을 각각 별석(別石)으로 하여 4매판석(四枚板石)으로 짰다.사면에는 모서리기둥[隅柱]]과

  • 광양송천사지회은장노비 / 光陽松川寺址悔隱長老碑 [예술·체육/서예]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송천사터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 회은 관련 기념비. 석비. 시도유형문화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비의 높이 274cm. 도선 국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 오는 송천사는 폐사되어 유구(遺構)가 거의 없으나 다행히 나한전지라 전해지는 건물지 앞

  • 광양시 / 光陽市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동남단에 위치한 시. 동쪽은 섬진강을 경계로 경상남도 하동군, 서쪽은 순천시, 남쪽은 광양만, 북쪽은 구례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7°31'∼127°47', 북위 34°53'∼35°10'에 위치한다. 면적은 462.25㎢이고, 인구는 15만 3587명(20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