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이경휘 / 李慶徽 [종교·철학/유학]

    1617(광해군 9)∼1669(현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제현 후손, 경윤 증손, 할아버지는 대건, 아버지는 시발, 어머니는 신응구의 딸이다. 1644년(인조 22)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춘추관기사관, 강화유수, 경기감사,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이계우 / 李啓宇 [종교·철학/유학]

    1786 - 1833. 조선후기의 문신. 이세필이 5세조, 부친은 이만규, 어머니는 한경의 딸이다. 생부는 이현규, 생모 는 윤성진의 딸이다. 1830년(순조 30) 문과에 급제한 이후의 관력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면서, 평소 독서를 좋아하여 경사에 널리 통달했으며 특

  • 이계조 / 李啓朝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3∼1856). 1831년(순조 31)에 판관으로서 식년 문과에 갑과 제 2인으로 급제하여 이조참의·경상감사·대사성·공조판서의 벼슬을 역임하고,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그의 서예 작품으로〈경릉비〉가 있다.

  • 이곡 / 李穀 [종교·철학/유학]

    1298(충렬왕 24)∼1351(충정왕 3). 고려 말엽의 학자. 윤경 6대손이다. 자성 아들, 색 아버지이다. 1317년(충숙왕 4) 거자과에 합격한 뒤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밀직부사, 정당문학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가정집≫ 4책 20권이 전한다.

  • 이곽 / 李廓 [종교·철학/유학]

    1590(선조 23)∼1665(현종 6). 조선 중기의 무신. 태종의 아들 경녕군 비의 6대손, 아버지는 유인이다. 신장이 8척이나 되고 음성이 큰 종소리 같았으며, 힘이 장사였다. 이항복의 추천으로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다. 이후 충청도병마절도사, 삼도수군통제

  • 이관 / 李灌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2∼1791). 1779년(정조 3) 이재의 문집 끝에 있던 홍계희의 이름을 삭제하여 정언 유맹양의 탄핵을 받아 사판에서 제명당하였다. 노직으로 가선대부에 오르고 풍안군에 봉하여졌다. 벼슬은 부총관에 이르렀다.

  • 이관명 / 李觀命 [종교·철학/유학]

    1661(현종 2)∼1733(영조 9). 조선 후기의 문신. 유록의 증손, 할아버지는 경여, 아버지는 민서, 어머니는 원두표의 딸이다. 1687년(숙종 13) 사마시에 합격, 이듬해에 익위사세마, 공조정랑, 함열현감, 예조참판,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병산집』1

  • 이관징 / 李觀徵 [종교·철학/유학]

    1618(광해군 10)∼1695(숙종 21). 조선 후기의 문신. 주의 증손, 할아버지는 창정, 아버지는 심, 어머니는 이민환의 딸이다. 1653년(효종 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여러 관직을 역임한 뒤 사헌부장령이 되었다. 승지, 대사헌, 경연관, 보양

  • 이광 / 李光 [종교·철학/유학]

    1485-1551. 조선 전기 유학자. 부친은 지성, 모친은 노언진의 딸이다. 김극인의 딸과 혼인하여 2남 1녀를 두었다. 아들은 충우, 충준, 사위는 오공건이다.

  • 이광사 / 李匡師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서화가(1705∼1777). 1755년에 소론 일파의 역모사건에 연좌되어 귀양가서 죽었다. 정제두에게 양명학을 배웠고, 윤순의 문하에서 필법을 익혔다. 시·글씨·그림에 모두 능했으며, 독특한 서체인 원교체를 이룩하여 후대에 영향을 끼쳤다. 저서로《원교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