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광서실기 / 匡西實紀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무신 박진영의 시·만·서(書)·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실기. 2권 2책. 목판본. 조선 말기에 7세손 치복(致馥)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성교(趙性敎)의 서문과 권말에 치복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첫머리에 범례가 있고, 권1에 연보

  • 광서집 / 廣棲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유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1935년 이유성의 손자 이광흠(李光欽)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노상직(盧相稷)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영규(趙暎奎)와 종증손 이정호(李正浩)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65수, 서(書)

  • 광석본모송 / 廣釋本母頌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태현이 인도 유식학자 호법의 『성유식론』을 해석한 불교서.불교주석서. 현재 산실되어 전하지 않지만, 전체 3권으로 구성된 책이다. 현존하는 태현의 유일한 저작인 『성유식론학기(成唯識論學記)』에 일부 내용이 인용되어 있다.『광석본모송(廣釋本母頌)

  • 광석유고 / 廣石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태현의 시· 서(書)·소·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3권 1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41수, 권2에 서(書) 4편, 소 6편, 서(序) 1편, 묘갈명 1편, 권3에 행록 2편, 행장 1편, 제문 7편 등으로 구성되어

  • 광성대부 / 光成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4품 하계 종친계의 위호. 종친계는 1443년(세종 25) 12월 일반 문산계로부터 독립하여 제정되었다. 종친부 부수(副守)급의 왕족들에게 수여되었으며 종친 대부계의 하한선이었다.

  • 광수무 / 廣袖舞 [예술·체육/무용]

    조선시대 숙종 때부터 전하는 정재(呈才) 중 하나. 1719년(숙종 45) 경현당(景賢堂)에서 연행된 『진연의궤(進宴儀軌)』의 기록에 의하면 9작(九爵) 중 제3작에는 「초무(初舞)」, 제4작에는 「아박(牙拍)」, 제5작에는 「향발(響鈸)」, 제6작에는 「무고(舞鼓)」

  • 광안대교 / 廣安大橋 [경제·산업/교통]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과 해운대구 우동의 센텀시티를 연결하는 다리. 1994년 8월 착공해 2003년 1월 6일 개통되었으며 부산광역시도 제77호선의 일부이다. 총 공사비는 약 7,899억 원이 소요되었다. 건설 당시 국내에서 가장 긴 교량으로 다양한 신기술이 적용되

  • 광암유집 / 廣巖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여석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38년 그의 손자인 영달(永達)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연구(柳淵龜)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탁영(李鐸英)과 손자인 영달·영범(永範) 등

  • 광야 / 曠野 [문학/현대문학]

    현상윤(玄相允)이 지은 단편소설. 1917년에 『청춘(靑春)』 제7호에 발표되었다. 일가 여인과 부정한 관계를 맺고 문중으로부터 추방된 아버지를 찾아나선 어린 아들이 천신만고 끝에 부자상봉하게 된다는 인정가화적(人情佳話的)인 이야기이다. 이 작품은 일선(一善)·일봉(一

  • 광야 / 曠野 [문학/현대문학]

    이육사(李陸史)가 지은 시. 5연 15행의 자유시이다. 작자의 말년 작품으로 유고로 전하여지다가, 1945년 12월 17일『자유신문』에 동생 이원조(李源朝)에 의하여 「꽃」과 함께 발표되었다. 그 뒤 시집에 계속 실려 이육사의 후기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육사시비(陸史詩碑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