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이경선 / 李慶善 [종교·철학/유학]
1600∼1636, 조선후기 유학자. 이시발의 서자, 오윤겸의 사위이다. 1624년(인조 2) 진사시에 합격, 1632년(인조 10) 문과에 급제했는데, 병자호란 당시 남포현감으로 재직했다. 전쟁이 발발하자 충청감사 정세규의 명령에 따라 군사를 모집하여 광주 험천까지
이경억 / 李慶億 [종교·철학/유학]
1620(광해군 12)∼1673(현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 경윤 증손, 할아버지는 대건, 아버지는 시발, 어머니는 신응거의 딸이다. 1644년(인조 22) 25세의 젊은 나이로 정시 문과에 장원해 예조와 병조의 좌랑을 역임하고 세자시강원사서가 되었다. 한성우윤,
이경여 / 李敬輿 [종교·철학/유학]
1585(선조 18)∼1657(효종 8). 조선 중기의 문신. 세종의 7대손, 할아버지는 극강, 아버지는 유록, 어머니는 송제신의 딸이다. 1609년(광해군 1)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1611년 검열이 되었으나, 광해군의 실정이 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이경유 / 李敬儒 [종교·철학/유학]
1750년(영조 26)∼1821년(순조 21). 조선 후기 시인·문장가. 증조는 이만부, 조부는 이지빈, 부친은 이승연이다. 부인은 최수인 딸이다. 1792년(정조 16) 음보로 참봉이 되었으나 벼슬에는 뜻이 없었다. 박천 이옥·식산이만부·강재 이승연으로 이어진 가
이경윤 / 李慶胤 [종교·철학/유학]
1545(인종 1)∼1611(광해군 3). 조선 중기의 사대부 화가. 이관의 종증손이다. 서화에 능하였고 동생 영윤과 두 아들 그리고 서자인 징 모두 그림과 글씨에 능하였다. 학림수를 제수받았고 뒤에 학림정에 봉해졌다. 인물화첩, 산수도, 탁족도 등이 그의 대표적인
이경일 / 李敬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4∼1820). 1775년 과거에 급제하여, 예조좌랑·사간원정언·홍문관부수찬·대사성·이조참의·황해도관찰사·이조참판 등의 벼슬을 역임하였고 1804년(순조 4)에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올랐다. 1808년에 오은군에 책봉되었다. 저서로는《청헌유고
이경전 / 李慶全 [종교·철학/유학]
1567(명종 22)∼1644(인조 22). 조선 중기의 문신. 치 증손, 할아버지는 지번, 아버지는 산해, 어머니는 조언수의 딸이다. 1590년(선조 2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사가독서를 하였다. 예조좌랑, 병조좌랑,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이경한 / 李景漢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부친은 이진이다. 천문으로 장차 임진왜란이 일어날 기미를 예측하고 이극복과 이백인 등과 경주 안압지에 모여 국난이 일어나면 의병을 일으킬 것을 약조했다. 왜란이 발발하자 형인 이경해와 아우 이경호와 함께 의병에 참여하여 크게 전공을 세
이경호 / 李景祜 [종교·철학/유학]
1705년(숙종 31)∼1779년(정조 3). 조선 후기의 문신. 보혁 아들, 정제두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35년(영조 11)에 생원시에 합격하여 의금부도사·지평현감·담양부사를 역임하고, 1753년 충주목사로 있을 때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장례원판결사·
이경화 / 李景華 [종교·철학/유학]
1629(인조 7)∼1706(숙종 32). 조선 후기의 의학자. 송시열의 문인이다. 1660년(현종 1)에 생원이 되었으며, 침구에 능하고 경사백가에도 정통하였다. 저서로는 ≪광제비급≫과 ≪풍계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