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광산 / 鑛山 [경제·산업/산업]
인류생활에 유용한 광물자원을 개발하는 장소. 광물자원을 채굴하는 장소뿐만 아니라 채굴 후 광석을 처리하는 선광(選鑛:광석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잡된 것을 가려내는 일)·제련시설과 기타 공작소·숙소 등 부수적인 자산(資産)도 포함된다.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에너지자원이
광산구 / 光山區 [지리/인문지리]
광주광역시의 서부에 위치한 구. 동쪽으로 서구와 북구, 서쪽으로 함평군, 남쪽으로 나주시와 남구, 북쪽으로 장성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51'~126°38', 북위 35°04'~35°14'에 위치한다. 광주광역시의 5개 구 중 가장 넓은 지역을 차지하는 구로서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고문서 / 光山金氏禮安派宗家古文書 [역사/조선시대사]
광산김씨 예안파 종손가에 소장된 문서.종가문서. 7종 429점. 보물 제1018호. 고려 때 김련(金璉)의 호구단자를 비롯해 1481년(성종 12)의 교지(敎旨), 1567년(명종 22)의 소지(所志), 세종연간의 분재기(分財記), 1477년(성종 8)의 명문(明文)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전적 / 光山金氏禮安派宗家典籍 [종교·철학/유학]
광산김씨 예안파 종손가에 소장된 유학서.종가유물. 보물 제1019호. 전적 10종 58책과 서첩 3책 등 총 13종 61점이 경상북도 안동의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되어 있다. 여러 종류의 전적들과 서첩들은 모두 조선 전기에 인출된 것이거나, 명현들의 필적이 담긴 것들로,
광산김씨긍구당고택 / 光山金氏肯構堂古宅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에 있는 조선시대 광산김씨 담안공파 관련 주택.시도유형문화재. 고택은 정침(正寢), 사당, 방앗간, 외양간, 화장실 2채로 이루어져 있다. 정침을 중심으로 동쪽에는 사당과 사랑채 화장실이 있고, 서쪽 앞면에는 외양간이 위치하였으며, 서쪽 뒷면에는
광산김씨대덕5년준호구 / 光山金氏大德五年準戶口 [사회/촌락]
1301년 광산김씨 김련에게 발급된 문서.관문서·준호구. 김련이 47세 때인 1261년에 완성된 호적대장에 의하여, 그의 아들 사원(士元)이 등급(謄給)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문서는 김련의 준호구와 그의 손자 진(稹)의 추심호구단자(推尋戶口單子)로 되어 있는데, 필
광산노씨분묘출토명기류 / 光山盧氏憤墓出土明器類 [예술·체육/공예]
광주광역시 북구 생룡동 지내마을 광산노씨 분묘에서 출토된 조선시대의 명기류. 36점. 광주광역시 민속자료 제6호.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소장. 이 명기류는 1987년광주광역시가 생룡동 일대에 우치공원 용지를 조성하던 중 선대의 분묘를 이장하면서 발견되었다.명기류 및 부장품
광산서원 / 光山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광산리에 있는 서원. 1795년(정조 19)에 어촌(漁村) 양훤(楊晅, 1597∼1650)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해 훼철된 뒤 1899년(광무 3)에 양훤의 8세손 양전환(楊典煥), 양
광산유고 / 匡山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백민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9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79년 그의 손자인 남근(南根)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원모(柳源模)의 서문과 권말에 손자 남근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
광산취락 / 鑛山聚落 [지리/인문지리]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광산자원의 개발에 따라 형성된 취락. 지하자원의 종류는 석탄, 철광석, 텅스텐, 금, 은 등 매우 다양하다. 지하자원의 기반에 따라 탄광취락, 철광취락, 중석광취락, 금광취락, 은광취락 등으로 불리지만, 이들 취락을 총칭해서 광산취락(鑛山聚落)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