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 정규창 / 丁奎昌 [종교·철학/유학]

    1872(고종 9)-1949. 아버지는 정춘섭, 어머니는 평해신씨이다. 젊어서부터 늙을 때까지 오직 학문을 익히고 몸을 수양하는 것을 평생의 업으로 삼았다. 용산 이만인에게 학문의 요체를 배웠으며, 간혹 과거공부를 하였지만 좋게 여기지 않았고, 한 번 서울에 시험을 치

  • 정극인 / 丁克仁 [종교·철학/유학]

    1401(태종 1)∼1481(성종 12). 조선 전기의 문신·문인. 아버지는 곤이다. 그러나『국조방목』에는 인의 아들로 되어 있다. 사간원헌납, 사간원정언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불우헌집』2권 1책이 전한다. 예조판서 겸 지춘추관성균관사에 추증됐으며 태인의 무성서원

  • 정극후 / 鄭克後 [종교·철학/유학]

    1577(선조 10)∼1658(효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습명의 후손, 아버지는 삼외이다. 일찍이 장현광으로부터 학문을 배웠는데, 장현광은 그의 비범함에 감탄, 붕우의 예로 대하였다. 또, 그는 정구의 문인이기도 하다. 저서로는 <문묘사향지>, <역년통고>, <서

  • 정기상 / 鄭璣相 [종교·철학/유학]

    1825년(순조 25)~미상. 조선 말기 문신. 정온의 봉사손, 증조는 정팔복, 조부는 정식이다. 부친은 정종필, 생부는 정기필이다. 외조부는 황희임, 생외조부는 이여민이다. 동생은 정현상‧정형상‧정규상이다. 1874년(고종 11) 증광시 문과에 병과 30위로 급제하였

  • 정기선 / 鄭基善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4∼1839). 1815년 한림소시에 선발된 뒤 함경도암행어사로 발탁되어 문란한 지방행정을 바로잡았다. 1829년 경상도관찰사로, 왜인들을 방어하는 대책을 수립하고 기민들을 구제하였다. 1833년에 예조판서에 올랐고, 이듬해는 대사헌이 되었다.

  • 정기세 / 鄭基世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4∼1884). 원용 아들, 범조의 아버지이다. 1862년 임술민란 때 판의금부사와 형조판서로서 이정청당상이 되었다. 고종 즉위 후 병조판서·한성부좌윤·철종실록찬집당상·제학·우찬성을 역임하였고, <대전회통> 편찬에 참여하였다.

  • 정기안 / 鄭基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5∼1767). 1752년 동지사 겸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보덕·승지를 거쳐 대사간이 되었고, 1766년 한성부우윤·지중추부사를 지냈다. 저서로《만모유고》가 있다.

  • 정기원 / 鄭期遠 [종교·철학/유학]

    1559(명종 14)∼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문신. 한용의 증손, 할아버지는 순복, 아버지는 상신, 어머니는 이경의 딸이다.1585년(선조 18)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주서, 승정원동부승지, 우부승지, 예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동국문

  • 정기일 / 鄭基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7∼1842). 1828년 예방승지로 익종의 대리청정을 보필하였다. 1836년(헌종 2) 황해도관찰사가 되어 학교를 정비, 유학을 진흥시키고 풍속을 교화하였다. 1838년 형조참판이 되어 내자시제조를 겸하였다. 1842년에 대사헌으로 비변사당상

  • 정기회 / 鄭基會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29∼?). 1864년(고종 1)에는 참찬관으로, 민본사상과 왕위의 지고함을 강조하였다. 1874년 영의정 이유원의 추천으로 정2품에 올랐다. 1889년 영조의 묘호를 개정, 1892년 세조·인목왕후의 존호를 추상할 때에 악장문 제술을 담당하였다.

페이지 / 35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