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광문자전 / 廣文者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조선 후기에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속편이라 할 수 있는 <서광문전후 書廣文傳後>와 함께 박지원의 ≪연암집 燕巖集≫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에 실려 있다. 저작연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그러나 1754

  • 광반와유고 / 廣胖窩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홍이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4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14년 방손인 경하(景夏)·온(溫) 등이 편집, 간행했다. 권두에 기우만(奇宇萬)·송낙헌(宋洛憲)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최병심(崔秉心)·옥(鈺)·온·경하 등의 발문이 있

  • 광백론소 / 廣百論疏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측이 『광백론』을 풀이한 주석서.불교서. 『동역전등목록(東域傳燈目錄)』, 『삼론종장소(三論宗章疏)』 등의 기록에 따르면 원측 저술로 추정되는 10권의 책인데, 산실되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 광백론종요 / 廣百論宗要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광백론』의 내용을 집약하고 핵심요지를 설명한 해설서.불교해설서.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불전소초목록(佛典疏鈔目錄)』 등의 기록에 따르면 원효 저술로 추정되는 1권의 책인데, 산실되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 광백론지귀 / 廣百論旨歸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광백론』의 주요 내용과 주장을 정리하고 해설한 불교서.불교주석서. 『삼론종장소(三論宗章疏)』와 『동역전등목록(東域傳燈目錄)』의 기록에 따르면 원효 저술로 추정되는 1권의 책인데, 산실되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 광백론촬요 / 廣百論撮要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광백론』의 주요 내용과 주장을 정리하고 해설한 불교서.불교주석서. 『화엄종장소병인명록(華嚴宗章疏幷因明錄)』, 『삼론종장소(三論宗章疏)』, 『대일본고문서(大日本古文書)』, 『나라록(奈良錄)』 등의 기록에 따르면 원효 저술로 추정되는 1권

  • 광보자경편 / 廣補自警編 [종교·철학/유학]

    유학의 경전과 선현들의 글 중에서 실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발췌한 수양서. 권두에 편자의 총서(總敍)와 목차 및 인용서목이 있는데, 인용한 책은 『주역』 197항목, 『서경』 170항목, 『시경』 139항목, 『주례(周禮)』 36항목, 『의례(儀禮)』 3항목, 『예기』

  • 광복군 / 光復軍 [정치·법제/국방]

    1940년 중국 충칭(重慶)에서 창설되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대. 광복군은 3개의 지대(支隊)로 편성, 제1지대장에 이준식, 제2지대장 공진원, 제3지대장 김학규가 취임하였다. 또, 1941년 1월에는 제5지대가 편성되어 나월환이 통솔, 제5지대는 원래 전지 공작원

  • 광복절 / 光復節 [역사/근대사]

    1945년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광복된 것을 기념하고,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경축하는 날. 대한민국 정부는 일제의 강점으로부터 벗어난 날과 독립국으로서 정부가 수립된 날을 기념하기 위해 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매년 8월 15

  • 광부 / 鑛夫 [사회/사회구조]

    광산노동자. 금·은·철·동 등의 금속이 사용되기 시작했을 무렵부터 광산노동자가 있었다. 그들의 신분이나 성격 등에 관하여는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다만, 조(租)·용(庸)·조(調)라는 국가의 국민 수취형태를 고려할 때, 광물생산은 기본적으로 광산 부근 주민의 부역노동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