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광명 이존도 유서 / 光明 李存道 遺書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이존도가 가풍을 후손에게 남겨주기 위하여 저술한 교훈서.유서. 유서는 1734년(영조 10) 2월 6일과 12일에 종손 이언수에게 써 준 2점과 이듬해 1735년(영조 11) 4월에 보완하여 작성한 1점, 그리고 1736년(영조 12)과 1737년(영조
광명사동종 / 光明寺銅鐘 [예술·체육/공예]
일본 시마네현[島根縣] 고묘사[光明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범종. 높이 88㎝, 입지름 51㎝. 중형(中型)에 속하는 종으로, 상하대(上下帶)의 무늬는 각각 다르게 장식하였는데, 상대는 S자형 물결 모양의 당초문(唐草文)을 연속하여 둘렀고, 하대는 상대보다 약간 넓게
광명시 / 光明市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서부 중앙에 위치한 시. 동쪽은 안양천을 경계로 서울특별시, 서쪽은 시흥시, 남쪽은 안양시, 북쪽은 서울특별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6°49'∼126°54', 북위 37°23'∼37°29'에 위치한다. 면적은 38.50㎢이고, 인구는 34만 4978명(201
광명역 / 光明驛 [경제·산업/교통]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있는 경부고속전철의 기차역. 2004년 4월 1일경부고속전철의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 지하와 지하가 각각 2층의 건물구조로 연면적은 48,184㎡이며, 건물의 지붕은 전통 한옥과 버선의 코를 형상화 한 것으로, 8개의 출입문과 6개의 동
광명철산동지석묘 / 光明鐵山洞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이 고인돌은 광명시청의 남쪽 100m 지점에 위치해 있었다. 이것을 광명고등학교로 이전하기 위해 1985년 1월 5∼20일에 걸쳐 한양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발굴조사 전의 상태는 동서 받침돌[支石]
광묘훈사 / 光廟訓辭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전기 제7대 왕 세조가 세자 광에게 내린 훈사의 내용을 기록한 역사서. 1책 12장. 목판본.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원제목은 ‘광묘어제훈사(光廟御製訓辭)’이다. 책머리에 세조의 자서(自序)가 있고 이어서 10조목의 훈사, 중종의 발문, 최항(崔恒)의 후서(後序),
광무 / 光武 [역사/근대사]
1897년에 제정된 대한제국의 연호. 조선개국 506년 8월 17일부터 광무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하여, 순종이 즉위하는 1907년 8월까지 10년간 사용되었다. 국왕을 대군주에서 ‘황제’로 승격시키고,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쳐 대외적으로 완전자주독립을 다시 선언함으로
광무개혁 / 光武改革 [역사/근대사]
1896년부터 고종 및 대한제국 정부의 개명된 집권층이 주도한 근대적 개혁. 고종이 1897년 황제에 등극하고 대한제국을 선포한 후 이 개혁이 집중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고종황제의 연호인 ‘광무’를 따서 ‘광무개혁’이라고 부른다. 서재필 등 독립협회 세력이 주도한 아
광무양전사업 / 光武量田事業 [역사/근대사]
1898년부터 대한제국 정부가 전국의 토지를 대상으로 실시한 근대적 토지조사사업. 1898-1904년 추진된 광무양전사업은 근대적 토지제도와 지세제도를 수립하고자 전국적 차원에서 추진되었다. 사업의 실제 과정을 보면 양지아문이 주도한 양전사업과 지계아문의 양전, 관계
광무협회 / 光武協會 [역사/근대사]
1898년 2월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애국계몽운동단체. 광무협회는 독립협회의 자극을 받아 학생과 교직원들이 하나가 되어 조직하였던 임의단체로 독립협회의 후원과 지도 아래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