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광례람 / 廣禮覽 [사회/가족]
사례(四禮) 가운데 상례·제례·관례 등에 관하여 긴요한 내용만을 간추려 엮은 의례서.사례편람. 3권 2책. 필사본. 간행 여부는 미상이다. 맨 앞에 엮은이로 보이는 수산(綏山))의 서문이 있는데, 1893년(고종 30) 쓰여진 것이다. 엮은이는 서문에서 이재(李縡)의
광록대부 / 光祿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정2품 상계의 문산계. 관인들의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는 공적 질서체계였던 문산계의 하나이다. 문종 때 제정되었다.
광록문집 / 廣麓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김연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7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57년 10대손 낙연(洛淵)·병덕(秉德)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외손인 권상규(權相圭)의 서문과 권말에 낙연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1에는 시
광뢰집 / 廣瀨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야순의 시· 서(書)·제문·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13권 7책. 목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찬경위나 간행연도를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책머리에 총목(總目)이 있고, 권1에 사(辭) 1수, 시 172수, 권2에 시 132수, 권3∼6
광릉 / 光陵 [역사/조선시대사]
왕릉. 광릉(光陵)은 조선시대 세조(世祖)의 능으로, 정희왕후(貞熹王后)를 부장(附葬)하였으며, 양주(楊州)의 동쪽 41리 되는 지점인 주엽산(注葉山) 직동(直洞)의 남쪽에 있다. 서울에서 60리 쯤 떨어진 거리이다.
광릉세고 / 廣陵世稿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안성(安省) 등 저, 안종화(安鍾和) 편, 신연활자본, 휘문관, 1907(융희 1), 2권 1책. 구성은 태종어필, 발, 서, 목록, 광릉세표, 범례, 전집~후집이다.
광릉수목원 / 光陵樹木園 [경제·산업/산업]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직동리에 있는 산림청 중부임업시험장 소속하의 국립수목원. 산림에 대한 자연학습 교육과 산림역사에 관한 자료를 영구히 보존하고 이를 전시하는 곳이다. 1983년부터 1986년까지 4개년에 걸쳐 광릉시험림 내 500㏊에 걸쳐 조성하였다. 자연경관을 최
광명 번역 징비록 / 光明 飜譯 懲毖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문신 유성룡의 『징비록』의 언문본을 이원익 가문에서 언문으로 필사한 야사집. 광명 번역 『징비록』은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 1542∼1607)이 1604년(선조 37) 경에 저술한 『징비록(懲毖錄)』의 언문본 2권 2책을 19세기에 금천(衿川, 현재 광명
광명 이원익 초상화 / 光明 李元翼 肖像畵 [예술·체육/회화]
조선시대의 문신이었던 이원익의 초상화. 인물의 모습과 자세는 보물 제1435호로 지정된 이원익의 초상화와 거의 같은데 다만 바닥에는 채전이 그려지지 않았다. 자세히 살펴보면 오사모에서부터 얼굴 부분을 포함하여 흉배 위까지는 별도의 종이에 그렸던 것을 오려 붙인 것이다.
광명 이원익 친필유묵 / 光明 李元翼 親筆遺墨 [예술·체육/서예]
조선 중기 이원익이 포은 정몽주 등의 시를 초서로 쓴 서예 작품. 이원익의 친필 유묵은 이원익이 영의정을 지내고 벼슬에서 물러난 말년에 손녀 이계온(李季溫)과 손자 등 후손에게 포은 정몽주 등이 지은 한시를 초서(草書)로 써서 남겨 준 서예 작품 13점이다. 이 친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