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광대가 / 廣大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말기에 신재효(申在孝)가 지은 단편가사. 총 70여 구. 광대 판소리에 대한 미학적 이론을 제시한 유일한 가사이다. 판소리를 부르기 전 목을 풀기 위해 부르는 단가(短歌)의 사설로 쓰였다. 신재효 만년의 작으로 여겨지나, 작사연대는 불분명하다. 이 가사는 <도리화

  • 광대모연가 / 廣大募緣歌 [문학/고전시가]

    1855년에 남호영기(南湖永奇)가 지은 불교가사. ·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총 155구. 전체 내용은 서사, 본사, 결사의 3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엄경』의 내용과 가치 및 판각의 의의를 드러낸 불교가사이다. 남호영기(1820∼1872)가 1855년 봉은사

  • 광덕 / 廣德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천안 지역의 옛 지명. 백제시대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신라 경덕왕 때에 광덕으로 명칭이 바뀌어 수성군(水城郡)의 영현이 되었다. 1018년(현종 9) 수주(水州)에 속하는 8개 속현 중 하나가 되었다. 조선 태종 때 승격된 수원도호부의 5개 속현 중

  • 광덕대부 / 光德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1품 상계 의빈계의 위호. 1444년(세종 26) 7월 이성제군소(異姓諸君所)를 부마소(駙馬所)로 개편하면서 의빈계를 정비하여 설치하였다. 공주에게 장가든 부마에게 수여하는 위계였다.

  • 광덕사부도 / 廣德寺浮屠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에 있는 사리를 봉안한 5기의 석조 불탑.부도. 시도유형문화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5호. 부도는 모두 5기(基)가 있는데 4기는 홍예(虹霓)로 된 석교를 넘기 전에 있고, 1기는 4기(基)의 부도에서 동북 약 40m의 산봉우리 정상부에

  • 광덕사삼층석탑 / 廣德寺三層石塔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광덕사에 있는 고려시대 3층 석조 불탑.시도유형문화재. 높이 2.8m.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20호. 현재 대웅전 앞에 건립되어 있는데 원위치로 생각된다. 넓고 높직한 장대석 3매를 결구하여 지대석을 이루고 그 위에 기단부와 탑신부를 형성하였으

  • 광덕산 / 廣德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과 철원군 서면과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046m.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광주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동쪽에 복주산(伏主山, 1,152m)·대성산(大成山, 1,175m), 남쪽에 백운산(白雲山, 904m), 서쪽에 명성산(鳴聲山

  • 광량만 / 廣粱灣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남서부 대동강 하류에 있는 만. 북쪽 해안에는 평안남도 용강군의 금정(金井)·재령·남포·오화 등이 위치하며, 남쪽 해안에는 황해도 은율군의 감정(甘井)·저도(猪島)·중하(中下) 등이 자리한다. 조석간만의 차가 5.7m로 간석지가 넓게 발달하여 있을 뿐만 아니라

  • 광령 귤나무 / 光令橘─ [과학/식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에 있는 귤나무.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6호. 이 귤나무는 제주도의 재래귤의 일종이며 지난날 기록에 나와 있는 이곳 재래귤로서 멸종되었던 것으로 알려진 동정귤이며 희귀한 식물로서 학술적으로 보존할 가치가 높아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광령 옥룡사 동백나무 숲 / 光陽 玉龍寺 冬柏─ [과학/식물]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추산리에 있는 동백림. 천연기념물 제489호. 이 동백림은 천연생 순림으로 그 면적이 약 7㏊에 이르고, 백운산(白雲山, 1,217m)의 정남방 7㎞의 지점에 위치한 백계산(403m)의 남쪽 경사면에 자리잡고 있다. 현재의 임황을 보면 순림을 이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