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윤임 / 尹任 [종교·철학/유학]
1487(성종 18)∼1545(명종 즉위년). 조선 중기의 무신. 아버지는 윤여필, 장경왕후의 오빠이다. 무과에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경주부윤이 되었다. 1523년(중종 18) 충청도수군절도사로 왜선과 싸우다가 패하여 충군되었다. 형조판서, 찬성을 역임하였다.
윤자덕 / 尹滋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27∼1890). 1848년(헌종 14)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한 뒤 사헌부대사헌·공조판서·지중추부사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신사유람단이 귀국하여 관제를 재개편할 때 개혁정권의 핵심적 역할을 하였다.
윤정현 / 尹定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3∼1874). 이조판서를 지낸 행임 아들이다. 1843년 식년 문과에 급제한 후 성균관대사성·황해도관찰사·병조판서 등 내외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문집으로《침계유고》가 있다.
윤제홍 / 尹濟弘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선비화가(1764∼?). 1794년(정조 18) 문과급제 후 대사간에 이르렀다. 산수화에 뛰어났으며 지두화에 능하여 지두화첩들을 남겼다. 정선·심사정·이인상의 화풍을 익혔다. 대표작으로 〈산수인물도〉·〈고사도〉 등이 있다.
윤증 / 尹拯 [종교·철학/유학]
1629(인조 7)∼1714(숙종 40). 조선 후기의 학자. 성혼의 외증손, 아버지는 선거, 어머니는 이장백의 딸이다.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리될 때 소론의 영수로 추대되어 송시열과 대립하였다. 저서로는『명재유고』·『명재의례문답』·『명재유서』등이 있다.
윤지선 / 尹趾善 [종교·철학/유학]
1627(인조 5)∼1704(숙종 30). 조선 후기의 문신. 엄 증손, 할아버지는 민현, 아버지는 강, 어머니는 정광성의 딸이다. 우의정 지완의 형이다. 1662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설서·사헌부정언·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1674년에 헌납·이조좌랑을 지내고,
윤지술 / 尹志述 [종교·철학/유학]
1697(숙종 23)∼1721(경종 1). 조선 후기의 학자. 수 후손이다. 윤지술·임창·이의연을 가리켜 신임의 삼포의라고 불렀다. 1725년(영조 1) 노론이 집권하자 신원되고, 1802년(순조 2) 사현사에 제향되었다. 1841년(헌종 7)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윤지완 / 尹趾完 [종교·철학/유학]
1635(인조 13)∼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엄 증손, 할아버지는 민헌, 아버지는 강, 어머니는 정광성의 딸이다. 좌의정 지선의 아우이다. 1662년(현종 3)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함경도관찰사, 어영대장, 예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윤지충 / 尹持忠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천주교인·순교자(1759∼1791). 외사촌인 정약용 형제들의 인도로 가톨릭에서 영세를 받았다. 1791년 모친상을 당하자 천주교 교리에 따라 제사를 지내지 않고 신주를 불살라 관가에 고발 체포되었다. 신해박해 때 우리나라 최초로 순교하였다.
윤진 / 尹搢 [종교·철학/유학]
1631(인조 9)∼1698(숙종 24).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순거, 어머니는 이춘원의 딸이다. 1666년(현종 7)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성균전적을 거쳐 병조좌랑, 순창군수, 예조참의, 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덕포유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