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 전적 총 1,57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전적
고금사실유취 / 古今事實類聚 [역사/조선시대사]
중국 송·원대의 『신편고금사문유취』에서 중국의 관직제도에 관한 부분을 발췌하여 수록한 유서(類書). 편자 미상. 4책. 필사본. 한대(漢代)에서 송대(宋代)까지의 관직제도가 수록되어 있다.『신편고금사문유취』는 주희(朱熹)의 제자였던 축목(祝穆)이 편찬한 『사문유취(事文
고금석림 / 古今釋林 [언어/언어/문자]
조선 영조·정조 때의 문신 이의봉(李義鳳)이 편찬한 사서(辭書). 역대의 우리말과 중국어를 비롯하여 흉노·토번·돌궐·거란·여진·청·일본·안남·섬라(暹羅: 샴·타이) 등의 여러 언어의 어휘를 모아 해설한 어휘집이다.
고금설원 / 古今說苑 [종교·철학/유학]
1654년 오명리가 경전과 송나라 명현들의 설 등을 인용하여 서술한 유서(類書). 10권 10책. 필사본. 권두에 한응인(韓應寅)의 서문이 있다. 권1에 천지·일월·산천·초목·인민(人民)·전제(田制) 등 21부문, 권2에 왕패(王覇)·능침(陵寢)·풍수·치국·제왕세기(帝
고금유취 / 古今類聚 [역사/조선시대사]
중국 고대로부터 조선시대까지의 문물제도에 관한 것을 분류하여 정리한 유서(類書). 7권 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찬 경위를 알 수 없다. ‘고금사실유취’로도 불리었는데, 이는 송나라의 축목(祝穆)의 『사문유취(事文類聚)』 중 백관(百官)에 관한 부분을 모아
고담일고 / 孤潭逸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이순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1년에 간행한 시문집. 5권 2책. 목활자본. 1891년(고종 28) 10대손 이진옥(李鎭玉)과 이진기(李鎭琦)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한장석(韓章錫)의 서문과 권말에 이진옥의 간기가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고당집 / 顧堂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규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0년에 간행한 시문집. 1970년 김규태의 아들 김부동(金富東)이 편집·간행하였다. 본집에는 권두에 김준식(金駿植)의 서문과 권말에 여창현(呂昌鉉)·김정회(金正會)의 발문이 있다. 별집에는 권두에 기노장(奇老章)의 서문과
고대일록 / 孤臺日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의병장 정경운이 1592년부터 1609년까지 소모관으로 참여한 의병활동 등을 기록한 일기. 『고대일록(孤臺日錄)』은 4권 4책의 필사본 자료로, 정경운(鄭慶雲)이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선조 25) 4월부터 19년 동안 기록한 일기이다. 전쟁 발발 직후
고도암유고 / 古道菴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심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0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목활자본. 1850년 그의 아들 태로(泰魯)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홍익문(洪益聞)·맹성순(孟性淳)의 서문과 권말에 태로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고등소학독본 / 高等小學讀本 [교육/교육]
1906년 휘문의숙 편집부에서 중등학교의 국어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 2권 2책. 양지 한장본. 휘문관(徽文館)에서 발행하였다. 1권은 1906년 11월, 2권은 1907년 1월 각각 발간되었으며, 1908년 4월에 재판되었다. 본문은 1권이 76면 45개과,
고려고도징 / 高麗古都徵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학자 한재렴이 개성의 산천과 사적을 기록하여 1847년에 편찬한 지리서. 7권 3책. 인본(印本). 1847년에 간행되었는데, 1911년조선고서간행회(朝鮮古書刊行會)에서 『발해고(渤海考)』·『북여요천(北輿要遷)』·『북새기략(北塞記略)』 등과 합본으로 간행한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