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총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고경리 / 高敬履 [종교·철학/유학]
1559(명종 14)∼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진사 고계영, 어머니는 양응기의 딸이다. 김장생의 문인이다. 1591년(선조 24)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광해군 즉위 후 집권한 대북세력이 서인학통을 공격하자 최영경을 죽이고, 임진왜란 당시 선조
고경명 / 高敬命 [종교·철학/유학]
1533(중종 28)∼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의병장. 고자검의 증손, 할아버지는 형조좌랑 고운, 아버지는 대사간 고맹영, 어머니는 진사 서걸의 딸이다. 1552년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성균관전적, 공조좌랑, 형조좌랑, 사간원정언 등을 역임하였다
고경중마방 / 古鏡重磨方 [종교·철학/유학]
1607년(선조 40) 이황이 옛 명·잠 중에서 수양이 될 만한 것을 뽑아 엮은 책. 1책 54장. 목판본. 1744년(영조 20) 정구가 간행하였다. 책 끝에는 편자의 오언시가 있어, 책의 제명이 선철의 학문태도를 본받는 것에서 유래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책머리에는
고계집 / 古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학자·문신 이휘령의 시문집. 8권 4책. 활자본. 손자 이중인과 장증손 이충호, 외종손 허훈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이 없어 간행연대는 미상이나, 권말에 허훈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125수, 소 5편, 서 29편, 전문 2편, 권3·4에 서연
고관상 / 高館相 [종교·철학/유학]
1884-1948. 일제강점기 유학자. 자는 공보(公甫)이고, 호는 유연당(悠然堂) 또는 담우(淡友)이다. 본관은 장흥(長興)이고, 전라북도 고창군(高敞郡) 신림면(新林面) 왕림(旺林)에서 태어났다. 장령(掌令) 고직(高直)의 후손이고, 아버지는 매헌(梅軒) 고제
고규상 / 高圭相 [종교·철학/유학]
1854-1941. 일제강점기 유학자·문신. 자는 문집(文執)이고, 호는 운포(雲圃)이다. 본관은 제주(濟州)이고, 전라북도 군산시(群山市) 옥구군(沃溝郡) 임피면(臨陂面) 월하리(月河里)에서 태어났다. 문충공(文忠公) 고경(高慶)의 후손이며, 고정량(高廷良)의 아들이
고금녀범 / 古今女範 [종교·철학/유학]
중국 역사에서 후대에 모범이 될 만한 여성들을 선정하여 그 일화들을 모아 엮은 교훈서.여훈서. 고금녀범(古今女範)은 중국 역사에서 후대에 모범이 될 만한 여성들을 선정하여 그 일화들을 기록한 교훈서 성격의 책이다. 한글 필사본이며 작자와 편찬 연대는 미상이다. 본서의
고금당집 / 古今堂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노덕규의 시문집. 4권 3책. 목판본. 1908년 장자 노우용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1에 시·책, 권2에 잡저, 권3에 서·기·발·상량문·제문·묘문·장록·유사, 권4는 부록으로 만장·행장·묘갈명·발, 별책으로「해동속악부」가 실려 있다.
고금명유 / 古今名喩 [종교·철학/유학]
명나라 학자 오사기가 역대 고금의 문헌에서 각종 명문들을 주제별로 발췌하여 1577년(추정)에 간행한 유학서. 『고금명유(古今名喩)』 초간본은 1573년 전후한 시기에 명나라 선성(宣城)에 있는 경야당(耕野堂)의 정관루(靜觀樓)에서 편찬되었고, 그 간행 시기는 1577
고금설원 / 古今說苑 [종교·철학/유학]
1654년 오명리가 경전과 송나라 명현들의 설 등을 인용하여 서술한 유서(類書). 10권 10책. 필사본. 권두에 한응인(韓應寅)의 서문이 있다. 권1에 천지·일월·산천·초목·인민(人民)·전제(田制) 등 21부문, 권2에 왕패(王覇)·능침(陵寢)·풍수·치국·제왕세기(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