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구비문학 총 62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구비문학
세민황제본풀이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지역의 무당굿에서 구연되었던 서사무가. 자료는 민족 항일기에 채록된 것과 1968년에 진성기(秦聖麒)가 채록한 것으로 모두 2편이 있다. 이승에서 포악한 짓을 하던 세민황제가 죽어 저승에 다녀와서 적선의 길을 깨닫고 선행을 했다는 내용의 이야기이다. 제주도의 무
세시요 [문학/구비문학]
연중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세시행사(歲時行事)에서 불리는 민요. 세시풍속은 1월에서부터 12월에 이르기까지 1년 동안 흐름에 맞추어 반복되어 온 주기전승(週期傳承)의 다양한 연례민속을 뜻한다. 세시요는 이같은 세시민속의 의식과 놀이에 부합하여 연행된 구비전승물을 일컫는다
셍굿무가 / ─巫歌 [문학/구비문학]
함경도 망묵이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 1965년임석재(任晳宰)·장주근(張籌根)이 함흥에서 월남한 강춘옥(姜春玉) 무녀의 보유 자료를 채록하여 『관북지방무가』(1966)에 수록하였다. 셍굿은 ‘성인(聖人)굿’의 방언이며, 불교의 창시자인 석가여래가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소천소지 / 笑天笑地 [문학/구비문학]
1918년 신문관에서 발행한 소담집(笑譚集). 이 책은 1912년 신문관에서 발간한 『개권희희(開卷嬉嬉)·절도백화(絶倒百話)』 합집에 수록된 소담 총 200편을 순서를 달리하여 재수록하고 그 밖에 20여 편의 소담을 추가한 것이다. 이 책에는 내용 목록이 따로 없으며,
소타령 [문학/구비문학]
소가 지니는 유다른 미덕과 희생으로 일관된 삶을 노래한 타령. 소를 제재로 한 가사로 민요화한 사설도 보인다. 소의 삶을 제재로 한 타령이기 때문에 일정한 기능은 없다. 겸손하고 부지런하며 점잖으면서 남을 위해 철저히 몸 바치는 소의 미덕을 찬양하는 내용이 대종을 이룬
소화 [문학/구비문학]
웃음을 주는 단편적인 이야기들을 다룬 설화의 총칭. 소화는 설화의 오락적 기능에 치중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교훈적인 요소나 윤리적 요소를 무시하고 저급화하는 경향까지 있다. 또한 등장인물의 결함이나 사기 등을 중점적으로 과장하게 되므로 비도덕적인 요소가 포함될 수
속담 [문학/구비문학]
교훈이나 풍자를 하기 위해 어떤 사실을 비유의 방법으로 서술하는 간결한 관용어구(慣用語句). 속담의 외형구조는 짧은 형과 긴 형의 두 가지로 나눈다. 짧은 형은 대체로 복합개념을 나타내는 어구이거나 단문(單文)이며, 긴 형은 중문(重文) 또는 복문(複文)으로 되어 있다
속담대사전 [문학/구비문학]
방종현(方鍾鉉)·김사엽(金思燁)이 펴낸 속담집. 우리나라 최초의 사전체재를 갖춘 속담집이다. 1940년 조광사(朝光社)에서 간행하였다. 수록 속담수는 총 4,000여수이며 그 중 우리말 속담은 3,000여 수에 달한다. 체재는 속담을 가나다순으로 배열하고 매수(每首)
속담론 / 俗談論 [문학/구비문학]
김사엽(金思燁)이 펴낸 속담 연구서. 목차를 보면 자서(自序)에 이어 87권이나 되는 인용 서목을 소개하고 속담론으로 들어가 서론·본론에 이어 색인으로 끝내고 있다. 서론에서는 속담의 정의와 명칭, 그리고 역사적으로 속담이 원용되었던 예증을 통하여 그 가치를 논하고 있
속담사전 [문학/구비문학]
이기문(李基文)이 펴낸 속담집. 1962년 민중서관(民衆書館)에서 발간하였다. 모두 7,000여 수의 속담을 수록하여 당시 속담집 가운데 가장 많은 자료를 수록하였을 뿐 아니라 출전과 용례까지 밝히고 있어 많은 참고가 된다. 수집 방법은 방종현(方鍾鉉)·김사엽(金思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