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한국구비문학대계 / 韓國口碑文學大系 [문학/구비문학]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전국 구비문학자료 조사 보고서.조사보고서. 자료집 82책, 부록 3책(유형 분류 및 색인). 1979년부터 1985년에 걸쳐 조사작업이 이루어졌고, 간행은 1980년∼1992년에 이루어졌다. 이 방대한 조사사업은 197

  • 한국무가집 / 韓國巫歌集 [문학/구비문학]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민속학자 김태곤이 각 지역 무가와 의식 절차, 관련 용어 등을 수록한 무가집. 전체가 4권으로 원광대학교 민속학연구소 ‘한국민속총서’로 집문당(集文堂)에서 발행하였다. 1권(A5판, 392쪽)은 1971년 5월에 출간되었으며, 서울·

  • 한국민간전설집 / 韓國民間傳說集 [문학/구비문학]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민속학자 최상수가 각 지역에 전승되는 이야기를 채집하여 1958년에 발행한 설화집.전설자료집. 1958년 통문관(通文館)에서 발행하였다. 편자가 1946년에 펴낸 『조선민간전설집(朝鮮民間傳說集)』·『조선지명전설집(朝鮮地名傳說集)』과

  • 한국민요집 / 韓國民謠集 [문학/구비문학]

    1961년 임동권이 민요와 동요를 집성하여 간행한 민요집. A5판. 전 7권. 첫째 권은 당초 권수 표시 없이 『한국민요집』이라 하여 1961년 동국문화사(東國文化社)에서 간행되었으나, 그 뒤 집문당에서 1992년까지 연속적으로 발행하면서 『한국민요집 Ⅰ』로 바뀌었다.

  • 한국수수께끼사전 / 韓國─ [문학/구비문학]

    김성배가 전국에서 20여 년간 수집한 4,500여 개의 수수께끼를 수록하여 1973년에 편찬한 수수께끼집. B6판. 502면. 1973년 집문당(集文堂)에서 발행하였다. 이 책에는 이보다 앞서 출간된 수수께끼 자료집들을 참고로 하면서, 그 밖에 필자가 전국 방방곡곡을

  • 한국의수수께끼 / 韓國─ [문학/구비문학]

    이종출이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수수께끼 자료 2,500여 종을 수록하여 1965년에 편찬한 수수께끼집. A5판. 226면. 1965년 형설출판사(螢雪出版社)에서 발행하였다. 이 책에는 이보다 앞서 출간된 수수께끼 자료집들을 참고로 하면서 그 밖에 편자가 조선대학교 학

  • 한글뒤풀이 / 한글뒤풀이 [문학/구비문학]

    한글의 자모 순서에 따라 말을 만들어가며 말놀이하는 동요. 어희요(語戱謠)의 하나이다. ㄱㄴㄷ 혹은 가갸거겨의 순서에 따라서 말을 꾸며나가고, 거침없이 외어나가는 데에 흥취를 느끼며 전승된다. 「이고사본춘향전(李古寫本春香傳)」·『신구잡가(新舊雜歌)』·「산대도감극(山臺都

  • 한당유사 / 漢唐遺事 [문학/고전산문]

    1852년(철종 3)에 박태석(朴泰錫)이 지은 한문장편소설. 「한당유사」는 이야기의 성격에 따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전반부는 남한(南漢)에서 성명(聖明)이 혁명을 일으켜 천자가 되는 부분부터 청(靑)이 삼국을 통일하여 대당(大唐)을 세우는 부분까지로, 「

  • 한림별곡 / 翰林別曲 [문학/고전시가]

    고려 고종 때 한림의 여러 유자(儒者)들이 지은 경기체가. 가사의 형식을 보면 각 장은 앞 4구에 엽(葉) 2구가 붙은 6구형이고, 음수율은 제1·2구는 3·3·4, 제3구는 4·4·4(3·4장은 예외), 제5구는 4·4·4·4로 되어 있고, 제4구와 제6구는 『악장가

  • 한림소시 / 翰林召試 [문학]

    예문관검열 후보자에 대한 특별 시험. 적임자를 선발하여 임금께 아뢰면, 왕명으로 시•부•논•책문 등의 시험을 보아 합격자를 임용하였음.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