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총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이행 / 李荇 [종교·철학/유학]
1478(성종 9)∼1534(중종 29). 조선 중기의 문신. 명신의 증손, 할아버지는 추, 아버지는 의무, 어머니는 창녕 성씨이다. 1495년(연산군 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 권지승문원부정자, 예문관 검열·봉교, 성균관전적을 역임,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하
이헌경 / 李獻慶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19∼1791). 영조 때 진사로서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정언·사서·지평·사간·집의·수찬이 되었다가 교리로 옮겨 시독관을 겸임하였다. 정조 때 동부승지·참찬관·대사간·한성부판윤이 되어 기로소에 들어갔다. 저서로는《간옹집》24권이 있다.
이헌락 / 李憲洛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8∼?). 1748년 학행으로 천거되어 강릉참봉이 되었다. 이후 평양봉사를 거쳐 의금부도사와 사포서별제, 하양현감이 되었고, 1776년 익위사익위를 거쳐 상의원주부·함창현감 등을 지냈다. 문집으로《약남집》이 있다.
이헌묵 / 李憲默 [종교·철학/유학]
1714년(숙종 40)∼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지, 조부는 이덕항이다. 부친은 이관중, 모친은 손시권의 딸이다. 생부는 이순중이다. 1750년(영조 26)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장령, 정언을 지냈다. 1763년(영조 39) 동지사서장관으로 중국을
이헌보 / 李獻輔 [종교·철학/유학]
1709년(숙종 35)∼1731년(영조 7). 조선 후기 사인. 이정구 후손, 증조는 이단상, 조부는 이희조이다. 부친 이양신과 모친 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정씨이다. 성인의 학문에 힘쓰면서 부모를 진심으로 섬겼고, 형제간에 우애가 있었으며, 벗들과의 사귐에
이헌유 / 李憲儒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부친은 이범중이다. 대산 이상정 문하에서 글을 배우면서 여러 번 장려를 입었다. 1763년(영조 39) 계미증광사마시에 진사 3등으로 합격하여, 혜랑등을 역임하고 담양부사에 이르렀다.
이현량 / 李玄亮 [종교·철학/유학]
1649년(인조 27)∼1715년(숙종 41). 조선 후기 음관. 이수광 후손, 부친 이태규와 모친 권일의 딸 사이에서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 이현도가 있다. 창릉참봉을 지냈으나 1691년(숙종 17) 모친상을 당하여 고향으로 돌아왔다. 유고로 시문집인《나
이현량 / 李顯良 [종교·철학/유학]
1679년(숙종 5)∼1737년(영조 13) 12월 10일. 조선 후기 문신. 1710년(숙종 36) 증광시 생원 3등 22위로 합격, 1722년(경종 2) 후릉참봉에 임용, 그러나 큰형과 함께 관직을 버리고 동강에서 살았다. 1730년(영조 6) 정시 을과 3위로 문
이현록 / 李顯祿 [종교·철학/유학]
1684(숙종 10)∼1730(영조 6). 조선 후기의 문신. 후원 현손, 주 증손, 할아버지는 산휘, 아버지는 섭, 어머니는 윤협의 딸이다. 헌릉참봉, 장원서봉사, 제용감봉사, 금구현령, 전주부판관 등을 역임하였다.
이현보 / 李賢輔 [종교·철학/유학]
1467(세조 13)∼1555(명종 10). 조선 중기의 문신·문인. 아버지는 흠이다. 홍귀달의 문인이다. 1498년(연산군 4)식년문과에 급제, 예문관검열·춘추관기사관·예문관봉교 등을 거쳐, 1504년(연산군 10) 38세 때 사간원정언이 됐다. 이때에 서연관의 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