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총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풍아 / 風雅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신 이세보의 시조 437수를 수록한 시조집. 필사본. 알려진 것으로는 가장 많은 작품을 실은 개인시조집이다. 「풍아(大)」·「풍아(小)」·「시가(詩歌)」 등 3권으로 되어 있다. 「풍아(大)」에는 422수의 시조와 가사체인 「상사별곡(相思別曲)」이 실려 있으
풍아별곡 / 風雅別曲 [문학/고전시가]
권익륭(權益隆)이 지은 연시조. 모두 6수로 되어 있으며,‘수(首)’ 1수, ‘미(尾)’ 5수의 구성이다. 『고금가곡 古今歌曲』과 『교주가곡집 校註歌曲集』에 실려 있으며, 국문 시가 뒤에 각각 한역 시가 붙어 있다. “풍아(風雅)의 깁흔 ᄯᅳᆺ을 뎐ᄒᆞᄂᆞ니 긔 뉘신고
풍악기우기 / 楓嶽奇遇記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유몽인(柳夢寅)이 금강산에서 여러 이인(異人)과 만나 노닌 이야기를 적은 글. 자연물을 의인화하여 우의한 작품으로 『어우집 於于集』 권6, 잡저에 실려 있다. 「풍악기우기」는 표면적인 내용으로만 보면 금강산 표훈사에서 달밤에 신선들과 만나 노닌 광경의 묘사
풍악행 / 楓岳行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이(李珥)가 지은 금강산 기행시. 『율곡전서』「습유(拾遺)」 권1에 실려 있다. 본래의 제목은 없다. 시를 짓게 된 동기가 설명되어 있다. 「풍악행」은 오언장편 고시(古詩)로 3,000언에 달하는 분량으로 되어 있다. 「풍악행」서두에서는 천지창조의 오묘신
풍암집화 / 楓巖輯話 [문학/구비문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유광익이 여러 문헌에서 발췌한 자료를 연차순으로 수록한 야담집. 『어우야담』·『국당배어』·『부계기문』·『기재잡기』·『태평한화』·『용재총화』·『공사견문록』·『청파극담』·『동각잡기』·『추강냉화』·『석담일기』·『필원잡기』 등 총 45종에 달하는 문헌으로부
풍애유고 / 楓崖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김필진의 시·서(序)·제문·언행록 등을 수록한 시문집. 3권 1책. 활자본. 서와 발이 없어 간행연도는 미상이다. 권1은 시 156수, 권2는 서(序) 5편, 제문 3편, 언행록 1편, 과부체(科賦體) 8편, 권3은 부록으로 행장·묘표·만사 등으로 구성되
풍요 / 風謠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 작자 미상의 4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4 ‘양지사석(良志使錫)’에 실려 있다. 영묘사(靈廟寺)의 불상을 만들 때 그 일을 도와주려고 모인 많은 사람들에게 이 노래를 지어주고 일을 하면서 부르도록 하였다고 한다. 오구라(小倉進平)는 이 노래를 『삼국유사』의
풍요삼선 / 風謠三選 [문학/한문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문인 유재건과 최경흠이 『풍요속선』 이후의 위항시인 305명의 시 886수를 수록하여 1857년에 간행한 시집.위항시집. 7권 3책. 운각인서체자(芸閣印書體字). 『풍요속선 風謠續選』이 간행된 지 60년 되는 해인 1857년(철종 8) 『
풍요속선 / 風謠續選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학자·시인 천수경 등의 『소대풍요』 이후의 위항시인 333명의 시 723수를 수록하여 1797년에 간행한 시집.위항시집. 7권 3책. 활자본. 『소대풍요 昭代風謠』가 간행된 지 60년 만에 송석원시사(松石園詩社)가 중심이 되어 『소대풍요』 이후의 위항시인 33
풍월설화 / 風月說話 [문학/구비문학]
시인과 시작(詩作)에 얽힌 이야기를 다룬 설화. 시작에 얽힌 이야기, 이른바 시화(詩話)에서 다루어진 이야기는 매우 다양한데 그것들을 내용을 기준으로 대체적으로 정리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국가 민족의 대사를 에워싼 가지가지의 막후담, 관리나 정치인의 이면상(裏面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