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총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정철 / 鄭澈 [정치·법제/법제·행정]
1536-1593. 조선 중기 문신 겸 시인. 당대 가사문학의 대가로서 시조의 윤선도와 함께 한국 시가사상 쌍벽으로 일컬어진다. 기대승·김인후·양응정의 문하생. 어려서 인종의 귀인인 맏누이와 계림군 유의 부인이 된 둘째 누이로 인하여 궁중에 출입하였는데 이 때 어린
정축기 / 丁丑旗 [정치·법제]
조선 시대 의장용으로 사용되던 육정기 중의 하나. 흑색 바탕의 사각기로 깃발의 위쪽에는 신형의 머리 부분이, 중앙에는 노란색의 부적 문양이, 아래쪽에는 소의 머리 부분이 그려져 있고, 노란색의 화염각과 기각이 달려 있다. 대가의 노부와 어장에 사용하였다. 기 바탕은
정충신설화 / 鄭忠信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의 명장 정충신에 관한 설화. 주로 한문 야담집에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계서야담(溪西野譚)』의 「정금남충신(鄭錦南忠信)」, 『청구야담(靑邱野談)』·『해동야서(海東野書)』의 「거북산금남성대공(據北山錦南成大功)」, 『동야휘집(東野彙輯)』의 「주석견육자기경(酒席
정칠품 / 正七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3등급의 품계.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정7품 문산계는 무공랑, 무산계는 돈용부위(敦勇副尉)로 정하였다. 그런데 ≪경국대전≫에는 무산계의 돈용부위가 적순부위(迪順副尉)로 그 명칭이 바뀌어 수록되었다.
정탁 / 鄭擢 [종교·철학/유학]
1363(공민왕 12)∼1423(세종 5).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아버지는 공권이다. 1382년(우왕 8) 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후 춘추관수찬관·사헌규정·좌정언·호조좌랑·병조좌랑·광흥창사 등을 역임하였다.1392년(태조 1) 이성계의 추대를 제일 먼저 발의한 공
정팔품 / 正八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5등급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정8품 문산계의 품계는 통사랑, 무산계는 승의부위로 정하였다. 그 뒤 ≪경국대전≫에 그대로 법제화되었다. 정8품 문무관 처의 직명은 단인(端人)이라고
정평향교 / 定平鄕校 [교육/교육]
함경남도 정평군 정평읍 사동천리에 있는 향교. 조선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 경내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재실 등이 있었으며, 대성전에는 5성(五聖), 10철(十哲), 송조6현(
정포 / 鄭鋪 [종교·철학/유학]
1309(충선왕 1)∼1345(충목왕 1). 고려 후기의 문신. 해 손자이다. 책의 아들, 최문도의 사위이다. 정포는 1326년(충숙왕 13) 과거에 급제하였다. 전리총랑, 좌사간대부 등을 역임하였다. 최해의 문인으로 이곡 등과 사귀며 시문과 글씨에 뛰어난 재질을 보였
정해기 / 丁亥旗 [정치·법제]
조선 시대 의장용으로 사용되던 육정기 중의 하나. 흰색 바탕의 사각기로 대가의 노부와 어장에 사용하였다. 깃발의 위쪽에는 신형 머리 부분을, 중앙에는 노란 부적 문양을, 아래쪽에는 돼지 머리 문양을 그렸으며, 노란색의 화염각과 기각을 달았다. 기 바탕은 백주, 화염각
정향전 / 丁香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문필사본. 양녕대군과 평양의 명기 정향 사이의 연애실화담을 소재로 한 소설이다. 이 실화는 『해동기화(海東奇話)』에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