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총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강와집 / 剛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임필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4년에 간행한 시문집. 8권 4책. 필사본. 1834년(순조 34)에 그의 아들 이보(伊輔)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1782년(정조 2)으로 된 이광정(李光靖)의 서문이 있는데 이는 간행에 앞서 미리 받은 것이다.
강외금보 / 江外琴譜 [예술·체육/국악]
조선시대 작자 미상의 「우조초편」·「우조제이편」·「우조제삼편」 등을 수록한 악보.거문고악보. 충청북도 청주시 강외초등학교 박물관 전시유물의 수집과정에서 한 학생이 기증한 것으로 현재 이 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한지(韓紙)에 모필(毛筆)로 필사된 1책 15장으로
강원도내열읍재실분등장계 / 江原道內列邑災實分等狀啓 [정치·법제]
강원도관찰사가 국왕에게 올린 강원도내 열읍의 재실을 분등한 장계. 분등한 내용은 ①이천 회양 안협 등 3개 고을을 우심읍에, ② 금성 정선 통천 흡곡 등 9개 고을을 지차읍에, ③원주 영월 평창 홍천 등 14개 고을을 초실읍에 두었다. 그리고 도내의 부족재 54결에 대
강원도지도 / 江原道地圖 [지리/인문지리]
연대·작자 미상의 강원도 부·군·현의 지도집.채색사본. 강원도 부·군·현의 지도가 모두 갖추어져 있는 희귀본이다. 26매의 군현 지도와 삼척·삼방 진영(鎭營)의 지도를 합하여 28매로 구성되어 있다.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나 한지 1매 크기가 보통이다. 규장각 도서에
강원도평강군산천전도 / 江原道平康郡山川全圖 [지리/인문지리]
연대·작자 미상의 평강군 산천 지도. 두껍고 단단하여 질이 좋은 장지(壯紙)에 그린 채색 지도로 크기는 세로 87㎝, 가로 76.5㎝이다. 지질과 내용으로 미루어보아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추가령지구곡의 동서 분수령
강의영효행추거문서 / 姜義永孝行推擧文書 [언론·출판/출판]
조선후기 경상남도 의령군 용암면의 동임과 집강 등이 강의영의 효행을 고을 현감에게 추거한 문서.관문서. 추거문서는 교지(敎旨), 효행동임수본(孝行洞任手本), 효행집강서목(孝行執綱書目), 효행사림추거장(孝行士林推擧狀), 의백식육서장(衣帛食肉書狀)으로 이루어져 있다.교지는
강재유고 / 剛齋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정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1년에 간행한 시문집. 1851년(철종 2) 김정현의 재종질 김제면(金濟冕) 등이 편집하였다. 권두에 자서가 있고, 권말에 김제면 등의 발문 2편이 있다. 13권 6책. 필사본.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강재집 / 剛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송치규의 시문집. 15권 7책. 필사본. 1865년(고종 2) 그의 장손 송기수가 간행, 권말에 편간 경위를 적은 송기수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시 49수, 소 31편, 권2는 소 15편, 서계 20편, 헌의 12편, 권3·4는 서 138편, 권5는
강좌문집 / 江左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권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0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5책. 목활자본. 1800년(정조 24) 증손인 신도(信度)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범조(丁範祖)의 서문이 있으나, 발문은 없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강진강재일사 / 康津剛齋日史 [역사/근대사]
1891년 7월부터 1903년 4월까지 박기현이 전라남도 강진의 향촌생활을 중심으로 작성한 일기. 전라남도 강진에 살았던 박기현이 1891년(고종 28) 7월부터 1903년 4월까지의 향촌생활을 기록한 일기이다. 박기현은 본관이 밀양으로, 강진 옴천에서 출생하여 병영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