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총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강해집 / 江海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장심학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7년에 간행한 시문집. 7권 3책. 목활자본. 1907년 그의 재종질인 익홍(翊弘)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신재석(申在錫)·익홍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3에
강해집 / 江海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좌영의 시·서·제문·애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서문이 없고, 권말에 이중철(李中轍)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권1은 시, 권2는 서 13편, 권3은 서(書)·제문 14편, 권4는 애사 4편, 서
강헌규 / 姜獻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7∼1860). 제자백가서를 비롯해 《좌전》·《국어》·《장자》·《이소》·《한서》·《사기》 등의 책을 두루 섭렵하였다. 1822년(순조 22) 식년시 진사 3등 32위로 합격해 성균관에 출입했다.
강호가도 / 江湖歌道 [문학/고전시가]
조선시대 시가 문학에 널리 나타난 자연 예찬의 문학 사조. 조윤제(趙潤濟)가 처음으로 개념을 정립하였다. 조선시대의 시가 작품, 예컨대 「강호사시가」·「상춘곡」·「어부사시사」·「창랑곡 滄浪曲」 등으로, 제목 자체부터 그 내용이 자연 예찬임을 짐작하게 한다. 자연 예찬은
강호별곡 / 江湖別曲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歌辭). 모두 약 50구. 조선 고종 때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악부(樂府)』·『가집(歌集)』 등에 수록되어 전한다. 서두에서 “세상공명(世上功名) 부운(浮雲)이라 강호어옹(江湖漁翁) 되오리라.”고 한 것처럼, 세상의 부귀공명을 모두 떨쳐버리고
강호연군가 / 江湖戀君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장경세(張經世)가 지은 시조. 전체 12수로 된 연시조로, 전6곡(前六曲)과 후6곡(後六曲)으로 되어 있다. 『사촌집(沙村集)』에 전한다. 창작동기는 사람들이 이 시조를 읊조림으로써 우국충정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데 있다고 하였으며, 작자가 언급하듯이 이황의
강호정 / 江湖亭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에 있는 조선후기 의병장 정세아가 건립한 누정.시도유형문화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1호. 임진왜란 때 의병대장으로 영천·경주 양성을 수복하는 데 큰 전공을 세운 정세아(鄭世雅)가 국가에서 수여하는 모든 영예를 사양하고 고향인 용산동에 이 정자를
강홍립 / 姜弘立 [종교·철학/유학]
1560(명종 15)∼1627(인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강온 증손, 할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 아버지는 참판 강신, 어머니는 정유의 딸이다. 1597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한성부우윤, 순검사, 오도원수 등을 역임하였다.
강홍중 / 姜弘重 [종교·철학/유학]
1577(선조 10)∼1642(인조 20). 조선 중기의 문신. 강온 증손, 할아버지는 강사필, 아버지는 승지 강정, 어머니는 정응규의 딸이다. 장현광의 문인이다. 1606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등용되었으며, 청송부사, 동지의금부사, 성천부사 등을 역임
강화 전등사 대웅전 / 江華傳燈寺大雄殿 [예술·체육/건축]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중건된 사찰건물.불전. 보물. 보물 제178호. 전등사는 강화도의 남쪽 끝 정족산의 한 가운데에 자리하고 있다. 정족산의 세 봉우리와 능선을 따라 삼랑성(三郞城, 일명 정족산성)이 있는데, 이 성은 단군이 세 아들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