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유식 / 柳栻 [종교·철학/유학]
1755년(영조 31)∼1822년(순조 22). 조선 후기 학자. 부친은 유승원, 생부 유필원과 생모 김이형의 딸 사이에서 2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유환이 있다. 입재 정종로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90년(정조 14) 증광시 진사 2등 18위로 합격하였으나
유신환 / 兪莘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801∼1859). 추천으로 감찰·사직서령·영희전령 등을 지냈다. 전의현감 때 학정의 민폐를 없애고 유학을 진작시켰으나 감찰사의 모함으로 유배되었다. 풀려나서 성리학자로 이기신화론을 주장하는 등 학문수양과 후진양성에 힘썼다.
유심춘 / 柳尋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62-1834). 학행으로 천거되어 세자익위사익찬을 거쳐 익위가 되었다. 1830년(순조 30) 왕의 하교로 3대가 과거에 급제한 것을 치하하고 도정에 임명하였고, 1854년(철종 4) 통정대부에 올랐다.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시문에도 능하였
유암집 / 楡巖集 [종교·철학/유학]
배유장의 시문집. 목활자본, 서:권연하(1883) 발:송석(1888), 3권1책. 권수에 권연하(1813~1896)의 서문, 권미에 송석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88제 90수의 시와 6통의 편지를 비롯하여 서 3, 기 2, 발 3, 상량문 2, 제문 9이 실려 있다.
유언호 / 兪彦鎬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0∼1796). 1761년(영조 37)에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두루 역임하였다. 정조 등극 후에는《명의록》 편찬을 담당하였으며, 정조의 탕평책에 옹호하였다. 문학으로 이름이 있었으며, 외유내강의 인물로서 평가된다. 저서로《칙지헌집》이
유여림 / 兪汝霖 [종교·철학/유학]
1476(성종 7)∼1538(중종 33). 조선 중기의 문신. 집 증손, 할아버지는 해, 아버지는 기창, 어머니는 구안우의 딸이다. 1504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의 검열·봉교, 성균관의 전적·직강을 거쳐 단양과 한산의 군수를 지냈다. 그 뒤 홍문관직제학·
유영립 / 柳英立 [종교·철학/유학]
1623년(인조 1)∼1686년(숙종 12).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유형, 조부는 유란. 부친 유인무와 모친 광주안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7형제가 있다. 부인은 홍문관교리 나이준의 딸이다. 1663년(현종 4) 식년시 병과 12위로 급제하였다. 태학관박사·장흥고주부
유옥 / 柳沃 [종교·철학/유학]
1487(성종 18)∼1519(중종 14). 조선 중기의 문신. 면 증손, 할아버지는 인흡, 아버지는 문표, 어머니는 현맹인의 딸이다. 1507년(중종 2) 식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사헌부장령, 의정부사인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석헌집』이 있다.
유운 / 柳雲 [종교·철학/유학]
1485(성종 16)∼1528(중종23). 조선 중기의 문신. 증조는 효반, 할아버지는 양손, 아버지는 공좌이다. 1501년(연산군 7) 진사가 되고 1504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 충청도관찰사, 동지중추부사, 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편저로는『진수해범』 2권 2책
유운룡 / 柳雲龍 [종교·철학/유학]
1539(중종 34)∼1601(선조 34).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중영, 어머니는 김광수의 딸이다. 성룡의 형으로 이황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내자시주부, 진보현감, 풍기군수, 원주목사를 역임하였다. 학문에서는 이기설이나 사칠논변은 이황의 이기이원론에 근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