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남야집 / 南野集 [종교·철학/유학]
남야 박손경의 문집. 목판본. 서: 정종로(1802). 발: 박한사(1801), 8권 4책. 권성익이 발의하여 1802년(순조 2) 아들 한동, 종질 한사 등이 간행하였다. 문집을 편집한 것은 박신경이고, 교감한 것은 류규이다. 문집 권1, 2에는 한시가 실려 있다.
남양주 봉선사 동종 / 南陽州奉先寺銅鍾 [예술·체육/공예]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봉선사에 전하는 조선시대 동종. 보물 제397호. 봉선사 동종은 세조의 추복을 위해 1469년에 제작되었다. 왕실 발원으로 만들어진 조선 초기 대표적인 범종이다. 봉선사는 세조의 능침인 광릉(光陵)의 원찰로 그의 비인 정희왕후 윤씨와 아들
남양주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 / 南楊州奉印寺浮圖庵址舍利塔─舍利莊嚴具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조선후기 부처의 사리를 봉안한 팔각원당형 불탑.부도·사리장엄구. 보물. 사리장치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에 있으며, 탑은 2005년 새 국립중앙박물관 개관과 함께 용산으로 이전하려 했으나, 상태가 좋지 못하여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 南楊州水鍾寺舍利塔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운길산(雲吉山) 수종사에 있는 조선전기 왕실의 발원으로 건립된 팔각원당형 사리탑.부도. 보물. 높이 2.38m. 보물 제2013호. 현재 수종사오층석탑(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호)과 함께 대웅전 오른쪽 뜰에 자리하고 있는 이 부도는 팔각원당형(八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 南陽州水鐘寺八角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수종사에 있는 조선시대 에 조성된 8각의 5층 석조 불탑.보물. 보물 제1808호(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호에서 2013년 9월 4일 보물로 승격 지정됨).팔각형의 옥개석(屋蓋石)을 갖춘 8각의 오층석탑으로 팔각지대석(八角地臺石) 각 면마다에 안
남양향교 / 南陽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에 있는 향교.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4호. 1397년(태조 6)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남양도호부의 동쪽 역골[驛谷]에 창건되었다. 1873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으며,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동
남양홍씨세보 / 南陽洪氏世譜 [사회/가족]
조선전기 문신 홍일동이 1454년년에 편찬한 남양홍씨의 족보. 현재 원본은 전하지 않고, 홍일동의 서문만 후대에 간행된 족보에 구서(舊序)로 남아 있다. 이 서문에 따르면, 홍일동은 1441년(세종 23) 종형 홍지(洪智)가 제공한 남양홍씨파계지도(南陽洪氏派系之圖)와
남연년 / 南延年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두명이다. 1676년(숙종 2)에 무과에 급제, 선전관을 거쳐 1727에 청주영장이 되어 토포사를 겸하였다. 이듬해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난을 진압하던 중, 청주성이 함락되면서 절도사 이봉상과 함께
남염부주지 / 南炎浮洲志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소설. 조선 전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소설. 목판본. 작자의 단편소설집 『금오신화(金鰲新話)』에 실려 있다. 주인공이 꿈속에서 겪은 일을 중심으로 내용이 전개되는 몽유구조의 소설로서, 작자의 철학사상이 가장 집약적으로 표
남오유고 / 南塢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조영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활자본. 1928년 김화정(金和鼎)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51수, 서(書) 5편, 서(序) 21편, 기 3편, 권2에 잡저 3편, 비명 4편, 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