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총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정성근 / 鄭誠謹 [종교·철학/유학]
?∼1504(연산군 10). 조선 전기의 문신. 자순 증손, 할아버지는 설, 아버지는 척. 어머니는 이양몽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인이다. 1474년(성종 5)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경연관, 좌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광주 구암서원에 제향되었다.
정속언해 / 正俗諺解 [언어/언어/문자]
1518년(중종 13) 김안국(金安國)이 중국의 『정속편』을 언해한 책. 『정속편』은 원(元)나라 일암왕(逸庵王)의 저술로서 14세기 중엽 중국 송강부(松江府)에서 왕지화(王至和)가 서문을 붙여 간행하였다. 당시 경상도관찰사였던 김안국은 이 책을 『여씨향약 呂氏鄕約』과
정숙옹주 / 靜淑翁主 [정치·법제/법제·행정]
1492년(성종 23)∼미상. 성종의 서녀로 모친은 숙의홍씨(淑儀洪氏). 파평윤씨 영평위(鈴平尉) 윤섭(尹燮)에게 하가하였다. 그러나 자식은 낳지 못하였다. 윤섭은 윤승류의 아들이다.
정숭조 / 鄭崇祖 [종교·철학/유학]
1442(세종 24)∼1503(연산군 9). 조선 전·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흥인, 아버지는 인지, 어머니는 이휴의 딸이다. 1458년(세조 4) 음보로 통례문봉례랑이 되고, 사섬시주부, 종친부부전첨, 공조좌랑, 종부시소윤, 한성부소윤, 이조참판, 경상좌도병마절도사
정시 / 庭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실의 과거가 있을 때와 특정 지역의 유생이나 관료를 대상으로 실시한 특별 과거. 처음에는 세자 책봉 또는 세자·왕후·왕태후의 병환 쾌유와 같은 왕실의 경사가 있을 때나 중국 황제의 즉위 등을 계기로 실시되었다. 왜란과 호란 이후에는 성격이 바뀌어 강도정시·
정안 / 政案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관원의 인사관리를 위하여 특별히 작성된 기록. 관원의 성명과 생년월일, 출사의 과정, 관원으로서의 경력, 사조 및 장인의 성명과 관직, 친가와 외가의 본향, 현재의 거주지는 물론이고 공적과 과실, 능력의 유무 등에 관한 사항이 모두 기록되었다. 따라서,
정양음 / 靜養吟 [문학/고전시가]
조선 전기에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시조. 『죽계지(竹溪誌)』 초간본 권1 행후록(行後錄)에 한역가와 더불어 수록되어 있다. 청유형(請誘形) 종결어미를 여러 차례 반복서술함으로써 작자가 독자에게 주장을 설득하고 권고하는 교술성을 강하게 지니고 있어 훈민가(訓民歌) 계통
정언 / 正言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간원의 정6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1401년(태종 1) 7월 습유가 정언으로 개정되었으며, 간관의 정원은 7인으로 줄었다. 1460년(세조 6) 5월 사간 1인, 헌납 2인, 정언 1인을 혁파함으로써 간관은 3인이 되었다 . 1463년 7월 사간원의
정여립 / 鄭汝立 [종교·철학/유학]
1546(명종 1)∼1589(선조 22). 조선 전기의 사상가. 극량의 증손, 할아버지는 세완, 아버지는 희증이다. 어머니는 박찬의 딸이다. 1570년(선조 2) 식년문과 을과에 두 번째로 급제, 이이와 성혼의 각별한 후원과 촉망을 받아 일세의 이목을 끌었다. 예조좌랑
정여립설화 / 鄭汝立說話 [문학/구비문학]
1589년의 기축옥사(己丑獄事)로 죽은 정여립(鄭汝立)에 관한 인물전설. 정여립(鄭汝立)은 기축옥사(己丑獄事)의 장본인으로 모반을 꾀하다가 죽은 인물이다. 구전설화와 문헌설화에서 각기 특별한 내용의 인물전설로 유형화되어 전승된다. 정여립에 대한 인물전설은 역사적으로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