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총 3,89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임충민공실기 / 林忠民公實紀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전기류(傳記類) 윤행임(尹行恁) 등수명찬, 최남선(崔南善) 편수, 신연활자본. 조선광문회(1913), 8권 1책. 정조(正祖)때 임경업(林慶業)의 행적에 관한 글을 엮은 것을 조선광문회에서 다시 간행한 책이다.
임치정 / 林蚩正 [역사/근대사]
미상-1932. 독립운동가. 호는 춘곡(春谷). 평안남도 용강 출신. 이조판서 국로(國老)의 아들이다. 1904년 미국에 건너가 안창호(安昌浩) 등과 함께 교포단체인 공립협회(共立協會)를 조직하여 간사로 활동하는 동시에 그 기관지인 《공립신보 共立新報》를 간행하였으며
임태일 / 任泰馹 [역사/근대사]
1899-미상. 일제강점기 항일운동가. 전라남도 광양군(光陽郡) 진월면(津月面) 송금리(松琴里)에서 출생하였다. 1919년 4월 15일 광양군 진월면(津月面) 송금리(松琴里)에서 독립만세시위를 계획하고 서당 학생들과 같이 태극기를 제작하는 등 준비를 갖추었다. 이날
임평 / 林平 [역사/근대사]
1908-1942.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1925년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普成高等普通學校)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 이후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 현 고려대학교)에 입학하여 1929년까지 수학하였다. 1929년 광주학생운동(光州學生運動)이 발생하여 전국적으로 항일독
임하유서 / 林下遺書 [문학/고전시가]
작자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분량은 2율각 1구로 159구이며, 율조는 4·4조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귀글체가 파괴되어 난삽하다. 1935년 10월시천교당(侍天敎堂)에서 발행하던 용천검사(社)의 잡지 『룡쳔검』 제29호에 실려 있다. 이본으로 경상북도 상주의 동
임혁규 / 林爀奎 [역사/근대사]
1891-1963.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자는 영화(永化), 호는 계산(溪山)이다. 본관은 나주(羅州)이고 전라남도 무안군(務安郡) 삼향면(三鄕面) 출신이다. 부는 임병욱(林炳郁)이다. 독립을 위해 문화운동에 뜻을 두고, 1936년 이우식(李愚式), 장현식(張鉉植)
임현주 / 林顯周 [교육/교육]
1858-1934년. 일제강점기 의병·교육자. 자는 희서(希瑞), 호는 경당(警堂)이다. 본관은 평택(平澤)이며 전라북도 남원(南原)에서 태어났다.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의 문인으로 12의사(十二義士)의 한 사람이다. 최익현에게 의병을 일으킬 뜻을 전하고 남원에
임호일 / 林浩逸 [역사/근대사]
1890-1919.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호는 소은(昭隱)이다. 출신지는 경상북도 안동(安東)이다. 1919년 3월 21일 경상북도 안동군 임하면(臨河面) 금소동(琴韶洞)·신덕동(新德洞)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김원진(金源鎭)·노말수(盧末守)·박유석
임화 / 林和 [문학/현대문학]
1908-1953년. 시인. 평론가. 본명은 인식(仁植). 문필활동을 시작하였던 1926년에는 성아(星兒)라는 필명을, 1928년부터는 임화·김철우(金鐵友)·쌍수대인(雙樹臺人)·청로(靑爐) 등의 필명을 썼다. 1908년 서울에서 출생하여 1953년 8월 북한정권의 최
자목당집 / 自牧堂集 [종교·철학/유학]
채형구의 문집. 석인본, 서: 이기호. 발: 채순식. 2권2책, 1919. 1919년 저자의 후손 순식. 홍원. 인식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기호의 서문, 권말에 순식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시 81수, 서 39편, 기 1편, 발 1편이 실려져 있다. 권2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