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총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통감절요 / 通鑑節要 [문학/한문학]
송나라 휘종 연간에 강지가 사마광이 지은 『자치통감』을 간추려 엮은 역사서. 50권 15책. 휘종 때 태사(太史)가 처사(處士)의 별인 소미성(小微星)의 출현을 상주하여, 유일(遺逸)을 천거하라는 명이 있었는데, 강지는 세 차례에 걸친 초빙에도 불구하고 끝내 출사하지
통인노래 / 通引─ [문학/구비문학]
영남지방에 전승되는 서사민요. 처녀가 잃은 댕기를 통인이 주웠기에 댕기를 돌려 달라는 데서 수작이 시작된다. ‘댕기노래’라고도 할 만큼 댕기에 대한 묘사가 자세하다. 아버지가 감을 떠 오고, 어머니가 접었고, “우리 오빠 눈치 댕기, 우리 형님 입살 댕기”라고 노래한다
퇴호유고 / 退湖遺稿 [문학/한문학]
문인 이정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4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석인본. 아들 용성(用聖)이 편집, 간행하였다. 『퇴호유고』의 권두에 이용태(李用泰)의 서문이 있다. 권말에 용성의 발문이 있다. 권1은 부(賦) 3편, 시 36수, 소(疏) 14편, 책(策)
특별회심곡 / 特別回心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휴정(休靜)이 지은 불교가사.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152행이다. 「회심곡」에서 파생된 가사로, 『석문의범(釋門儀範)』에 실려 있는 「별회심곡」과 내용이 같다. 다만, 『악부(樂府)』에 기록된 「특별회심곡(特別回心曲)」에는 끝에 ‘나무아미타불
파랑새요 / ─謠 [문학/구비문학]
어린이들에게 널리 불리던 전래동요. 노래 서두의 “새야새야 파랑새야”의 구절은 「아리랑」을 비롯한 「도라지타령」이나 「달노래」 등에 관용되는 반복률의 하나로 이 노래의 중심적 특징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노래는 다음과 같다. ① “새야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 앉지마라/녹두
파연곡 / 罷宴曲 [문학/고전시가]
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연시조. 모두 2수. 연회를 끝마칠 때 부르는 노래이다. 작자의 문집인 『고산유고(孤山遺稿)』 권6에 전한다. 이 시조는 작자가 보길도(甫吉島)에서 지은 것으로, 구체적으로 어느 때 어떤 경위로 지었는지는 알 수 없다. 제1수의 초장은 “즐기기
파초부 / 芭蕉賦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에 이건창(李建昌)이 지은 부. 작자의 문집 『명미당집(明美堂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형식과 표현의 아름다움을 강구하고 있다. 오칠언(五七言)의 시나 사륙문(四六文)을 사용하고 있다. ‘혜(兮)’자를 반복하여 쓴 점이 이 글의 문체적 특징이다., 초사체(
판소리계소설 / ─系小說 [문학/고전산문]
춘향전, 심청전 등 일반적으로 판소리 사설의 영향을 받아 정착된 소설. 판소리는 본래 열두 작품이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다섯 작품만이 판소리로 연행되고 있다. 창을 잃은 작품은 소설로 정착되어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는 것도 있지만, 그 내용마저 알 수 없게 된 작
팔경시 / 八景詩 [문학/한문학]
자연의 승경을 8가지 경치로 구분하여 시화한 산수시. 우리 나라의 경우 고려의 이인로(李仁老)○진화(陳澕)○이제현(李齊賢) 등에 이어 조선조 강희맹(姜希孟) 부자○신숙주(申叔舟)○이행(李荇) 등을 거쳐서 후기에 이르기까지 활발한 창작 양상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각처의
팔도가 / 八道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말기에 쓰여진 작자 미상의 가사. 이용기(李用基)가 편찬한 『악부(樂府)』 상책(上冊)의 국한문 혼용본과, 이를 현대 맞춤법으로 고친 서울대학교 가람문고 소장의 『아악부가집(雅樂部歌集)』 수록본이 있다. 전체 9수로 되어 있으며,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