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관모 / 冠帽 [생활/의생활]

    머리를 보호하고 장식하기 위하여 또는 신분이나 의례에 따라 격식을 갖추기 위하여 머리에 쓰는 물건. 관모는 사람의 머리를 싸는 용기(容器)가 되는 것이므로 머리를 어떻게 처리하였느냐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진다. 시대에 따라 그 명칭과 종류가 다양한데, 형태상으로 보아

  • 관모봉 / 冠帽峰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경성군 주을읍과 무산군 연사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541m. 백두산 병사봉(2,744m) 다음으로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봉우리이다. 관모봉과 그 주위의 산지는 한반도의 지붕이 되는 개마고원의 북동부로, 함경북도의 중앙부에 속한다. 관모주봉(冠帽

  • 관모봉불로초 / 冠帽峰不老草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북도 연사군 삼포리에 있는 불로초(오리나무더부살이). 관모봉(2,540m)은 함경북도 경성군 매향리와 연사군 삼포리에 있는 산으로, 산림자원이 풍부한 지역이며 이곳의 불로초는 북한의 천연기념물 제426호이다. 불로초는 두메오리나무의 뿌리에 기생하는

  • 관모봉왕대황 / 冠帽峰王大黃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북도 연사군 삼포리에 있는 왕대황(장군풀). 북한 천연기념물 제377호. 왕대황은 장군풀을 북한에서 일컫는 명칭이다. 관모봉왕대황은 함경산맥의 주봉인 관모봉(해발 2,540m)을 중심으로 높은 산지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다른 풀보다 크고

  • 관모온천 / 冠帽溫泉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경성군 주을읍(지금의 관모리)에 있는 온천. 지역적인 지열류량은 60∼80mWm-2 정도로서 단일 온천공에서 자연용출된다. 온천수의 화학성분은 규산 63.3ppm으로 광물질 총량은 278.2ppm이며, 기타 KㆍNaㆍHCO3ㆍSO4 등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 관무량수경 / 觀無量壽經 [종교·철학/불교]

    우리나라 정토신앙의 근본이 되는 불교경전. 불교 정토신앙의 근본경전 중 하나. 1권. 『관무량수불경(觀無量壽佛經)』·『십육관경(十六觀經)』·『관경』이라고도 한다. 424년에 역경승 강량야사(畺良耶舍)가 한역한 것이 전하고 있으며, 『아미타경』·『무량수경』과 함께 정토삼

  • 관무량수경강요 / 觀無量壽經綱要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의적이 『관무량수경』의 핵심 내용을 정리하여 저술한 교리서.불교교리서. 전체 1권으로 현재 전하지 않는다. 의천(義天, 1055∼1101)의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권제1에 ‘강요(綱要) 권(卷)’이라고만 되어 있고, 그 권수가

  • 관무량수경고적기 / 觀無量壽經古迹記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태현이 『관무량수경』을 풀이한 주석서.불교서. 전체 1권이지만 현재 전하지 않는다. 의천(義天, 1055∼1101)의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권제1과 일본의 불교 관계 저술 목록인 『증보제종장소록(增補諸宗章疏錄)』에 책의 이름이

  • 관무량수경소 / 觀無量壽經疏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의적이 『관무량수경』을 풀이한 주석서.불교서. 전체 1권이지만 현재 전하지 않는다. 일본이 11년간 국가적 차원에서 분류해서 발간한 『대일본불교전서(大日本佛敎全書)』 제1책에 수록된 『불전소초목록(佛典疏鈔目錄)』에는 “신라국의 의적이 찬술했지만

  • 관무재 / 觀武才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특별히 왕의 명령이 있을 때 시행한 무과. 응시자격은 한량·군관·조관 출신들 모두에게 있었으며, 1572년(선조 5)을 시작으로 모두 22회 실시한 것으로 보인다. 시험은 1783년(정조 7) 이후에는 문신에 대한 시험과 유생에 대한 시험을 교대로 실시한 것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