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남산봉수대지 / 南山烽燧臺址 [경제·산업/통신]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 남산 정상에 있는 봉수대.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4호. 『경국대전』에 전하는 목멱산봉수(木覓山烽燧)로, 서울에 있다고 하여 경봉수(京烽燧)라 하였다. 조선시대 전국 각지의 경보를 병조(兵曹)에 종합 보고하는 중앙 봉수소의 역할을 수행한 제일 중요
남산서원 / 南山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묘라리 시사동에 있는 서원. 574년(선조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지화(柳志和)의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순조 때에 남궁 제(南宮濟)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흥선대원군의
남산요 [문학/구비문학]
조선 초에 지어진 참요(讖謠). 태조의 뒤를 이을 왕위계승권을 둘러싸고 왕세자와 세도가 사이에 갈등이 있어, 이것을 풍자하고 예언한 것이다. 『증보문헌비고』 권71에 전한다. 하룻밤 사이에 형세가 역전해서 이방석 형제가 죽고 이방원이 득세하여 정도전과 남은도 함께 목숨
남산정 / 南山亭 [예술·체육/건축]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에 있는 조선시대 군청의 누정.누각. 송학루(松鶴樓)라고도 하는데, 노송이 울창한 남산에 수많은 학들이 날아와 서식하였던데서 유래한 것이다. 본래 군청의 2층 문루였다.1928년에 헐기가 아까워 이 지방 유생들과 유지들이 성금을 모아 지금 자리로 옮
남상교 / 南尙敎 [문학/한문학]
1784(정조 8)∼1866년(고종 3).조선 후기의 문신·문인·종교인. 아버지는 남이우(南履佑)이며, 어머니는 이기풍(李基豊)의 딸 이씨(李氏)이다. 5대조인 남익훈(南益熏)이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판·함경도 관찰사 등을 역임한 이후로 고조부인 남기명(南紀明)은 평택
남서시집 / 南棲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유성문의 「등남한산성루」·「부매화십이절」·「세제유감」등을 수록하여 1911년에 간행한 시집. 불분권 1책. 석인본. 1911년경 종손 승호(升鎬)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과 권말에 종손 광호(廣鎬)의 발문이 있다. 성암고서박
남서집 / 楠西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박춘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7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927년 아들 현서(顯서)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상규(權相圭)의 서문과 권말에 홍정섭(洪政燮)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는 시
남성록 / 南城錄 [역사/조선시대사]
1636년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의 항전을 기록한 일기. 1책. 필사본. 부록으로 같은 시기 강화도에서의 패전 사실을 기록한 ≪강도록 江島錄≫ 및 <제강도록후 題江島錄後>, 1728년(영조 4) 무신란(戊申亂 : 이인좌의 난) 때의 기록인 ≪무신일기 戊申日記≫ 2종
남소문 / 南小門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었던 조선전기 남산 봉수대의 동쪽 문(門).성문. 흥인지문(興仁之門)과 숭례문(崇禮門) 사이에 있는 광희문(속칭 水口門)을 남소문이라 오인한 예도 있으나 별도로 남소문이 있었다.남소문을 설치한 것은 1457년(세조 3)이며, 새로 이 문을 설치하게
남소영 / 南小營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어영청의 분영. 서울 남부 명철방(明哲坊 : 현재 중구 장충동)의 남소문 옆에 있었다. 청사는 모두 194칸이었다. 여기에는 초관(哨官) 1인과 지방군 12인이 입직하였는데, 후에 9인으로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