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총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임봉주 / 林鳳柱 [역사/근대사]
1875-1921년. 독립운동가. 일명 세규(世圭). 경상북도 영주 출신. 1915년 풍기의 광복단과 대구의 조선국권회복단을 통합하여 조직된 대한광복회에 가담하였다. 1916년 권상석(權相錫)·우재룡(禹在龍) 등과 함께 친일 부호 장승원(張承遠)을 처단하려다 실패하고,
임성구 / 林聖九 [예술·체육/연극]
1887-1921년. 신파극(新派劇)초창기의 연극인. 서울 출생. 어려서 서당에 다녔을 뿐, 정상적인 학교교육을 받지 못하고 자랐다. 20세 때에 일본공사관이 있던 남산의 종현성당(鐘峴聖堂)뒷문 근처에 살면서 때마침 그곳의 일본인 극장에서 공연되던 신파극이나 가부키(歌
임성남 / 林聖男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국립무용단 초대단장, 국립발레단 단장 등을 역임한 무용가.안무가, 발레교육자. 전주사범학교에 입학하여 4학년 때 전주 도립극장에서 있었던 한동인(韓東人) 발레단의 공연을 보고 그의 제자가 되었다. 1947년 4월 전주사범학교를 졸업한 후 한동인 발레단의 공연
임성우 / 林成雨 [역사/근대사]
1889-1970.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서울이고, 독립운동 당시 주소는 미국 하와이이다. 1914년 6월 하와이에서 박용만(朴容萬)이 창설한 국민군단(國民軍團) 훈련대소대 참위로 활동하였다. 1925년 4월 하와이에서 조직된 조미구락부(朝美俱樂部)에 오운
임성원 / 林聲遠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우원집』을 저술한 시인. 숙종연간에 여항시인(閭巷詩人)으로 활동하였던 녹사중부주부(錄事中部主簿) 임춘양(林春養)의 증손이다. 중인출신으로 관직을 가지지 못하였으며, 집이 가난하여 실컷 먹고 취하는 것이 소원이었던 그였으나 생업에는 힘쓰지 않고 시인으로 자오하
임성주 / 任聖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11∼1788). 이재의 문인이다. 1750년 세자익위사세마가 되고 시직에 승진하였으나 곧 사직하고, 1758년 공주의 녹문에 은거하였다. 1776년 정조가 즉위한 뒤 동궁을 보도하고 지방관을 지내다가 다시 녹문에 은거하여 학문연구로 여생을 보냈
임성칠 / 林成七 [역사/근대사]
1901-1920.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거주지는 중국 만주(滿洲)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이다. 중국 연길현에 있는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의 단원으로 활동하다가 일본군에게 체포되어 조사를 받던 도중에 탈출을 시도하여 성공하였으나, 연길현 모루구(母樓溝)에
임수간 / 任守幹 [종교·철학/유학]
1665(현종 6)∼1721(경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선백 증손, 할아버지는 중, 아버지는 상원, 어머니는 정식의 딸이다. 1694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교리, 정언, 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돈와유집』이 있다.
임수명 / 任壽命 [역사/근대사]
1894-1924년. 여성독립운동가. 충청북도 진천 출신. 1912년 서울에서 간호원으로 근무할 때 일본경찰에 쫓겨 환자로 가장하여 입원하고 있던 신팔균(申八均)과 1914년 결혼하였다. 그뒤 신팔균과 함께 만주에서 비밀문서의 전달, 군자금의 모금, 독립군후원 등에 힘
임수명 / 林守明 [역사/근대사]
1897-1977.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임경(林鏡)·임작주(林作柱)이다. 본적은 전라북도 정읍(井邑)이고, 독립운동 당시 주소는 전라남도 여수(麗水)이다. 조부는 호남에서 의병을 일으킨 최익현(崔益鉉)의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임병찬(林炳瓚)이고, 부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