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총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정국성 / 鄭國成 [종교·철학/유학]
1526(중종 21)∼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 극공의 증손, 할아버지는 변, 아버지는 계함, 어머니는 황근의 딸이다. 1558년(명종 13) 사마시에 합격, 학행으로 천거되어 참봉에 제수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상주에서 창의하고 일어섰으
정극인 / 丁克仁 [종교·철학/유학]
1401(태종 1)∼1481(성종 12). 조선 전기의 문신·문인. 아버지는 곤이다. 그러나『국조방목』에는 인의 아들로 되어 있다. 사간원헌납, 사간원정언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불우헌집』2권 1책이 전한다. 예조판서 겸 지춘추관성균관사에 추증됐으며 태인의 무성서원
정기원 / 鄭期遠 [종교·철학/유학]
1559(명종 14)∼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문신. 한용의 증손, 할아버지는 순복, 아버지는 상신, 어머니는 이경의 딸이다.1585년(선조 18)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주서, 승정원동부승지, 우부승지, 예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동국문
정난공신 / 定難功臣 [정치·법제/정치]
1507년 이과의 옥사를 처리하는 데 공이 있었던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등은 추성보사우세정난공신으로 노영손·유순·박원종 등 5명, 2등은 추성보사정난공신으로 민효증·이계남 등 5명, 3등은 추성정난공신으로 설맹손·홍숙등 12명을 책정하였다
정난공신 / 靖難功臣 [정치·법제/정치]
1453년 세조가 황보 인·김종서 등과 안평대군 제거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등은 수양대군과 정인지·한확·박종우·김효성·이사철·이계전·박중손·최항·홍달손·권람·한명회 등 12명이고, 2등은 권준·신숙주·윤사균·양정·유수·유하·봉
정녕 / 定寧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의주지역의 옛 지명. 1396년(태조 5)에 정융(定戎)ㆍ영덕(寧德)ㆍ영주(靈州)ㆍ영삭(寧朔)의 4진(四鎭)을 합하여 정녕현으로 하였다. 1445년(세종 27) 군으로 승격시켰다가 1455년(세조 1)에 다시 현으로 강등시켰으며 다음해에 의주목에 예속시켰다.
정당문학 / 政堂文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의 관직. 조선 건국 후 1392년(태조 1) 문무관제를 고칠 때 문하부(門下府)에 1인을 두었으나, 1401년(태종 1) 7월 문하부를 의정부(議政府)로 개칭할 때 의정부문학으로 개칭되었다.
정대임 / 鄭大任 [종교·철학/유학]
1553(명종 8)∼1594(선조 27). 조선 중기의 의병장. 아버지는 용, 어머니는 김응생의 딸이다. 증조부 윤식에게 수학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시 의병을 모아 당지산에서 적을 크게 무찌르고, 의병 100여명을 이끌고 의병대장 권응수의 휘하에 들어가 중총 직책을
정덕대부 / 靖德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빈계의 종1품 상계의 위호. 조선 전기의 광덕대부(光德大夫)가 ≪속대전≫에서 정덕대부로 개칭되었다가 뒤에 동반관계가 통합되어 숭록대부(崇祿大夫)로 되었다.
정랑 / 正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육조의 정5품 관직. 정원은 1405년(태종 5) 1인씩 증원해 각 조 3인이 표준이었다. 그러나 병조와 형조에는 4인이었고, 후기에는 이조 2인, 호조 3인으로 조정되었다. 정랑은 고려 초기 각 부에 두었던 정5품 낭중을 1275년(충렬왕 1) 6부가 4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