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남계예설 / 南溪禮說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박세채의 예설에 관한 문답·서찰·논설·고증 등을 발췌하여 만든 책. 20권 10책. 목판본. 권두에 이하경의 서문, 범례 7조와 목록이 있다. 권1∼20에 서·문답 3천여편, 녹 12편, 설변 20편, 발 2편, 석의 32편, 수 12편, 기 5
남계정 / 南溪亭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 있는 조선전기 남계 김진이 건립한 팔작지붕 형태의 누정.정자. 시도유형문화재.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건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4호. 조선 중기의 학자 남계 이온(李溫)이 54세 때인 1580년(선조 13)에 건립한 정자로, 그
남계집 / 南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박세채의 시·소·서(書)·제문·제발(題跋) 등을 수록한 시문집. 정집 87권 39책, 속집 22권 9책, 외집 16권 8책, 합 125권 56책. 목판본. 서문·발문이 없어 간행경위와 시기를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남계집 / 南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실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5권 1책. 목활자본. 1924년 그의 7대손인 승엽(承燁)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재(奇宰)의 서문과 권말에 송철헌(宋哲憲)·승엽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2수, 권2에 서(書) 5편
남계하 / 南啓夏 [종교·철학/유학]
1643(인조 21)∼1705(숙종 31).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진위장군 문성. 음서로 선공감에 나가게 되었다. 그뒤 내섬시주부·활인서별제를 거쳐, 의금부도사를 역임하고, 외직으로는 청하현감을 지냈다. 평소 학문에도 뜻이 있어 윤원거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쌓았
남고서원 / 南皐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정읍시 북면 보정리 관동에 있는 서원. 1577년(선조 1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항(李恒)과 김천일(金千鎰)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사우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5년(숙종 11)에 ‘남고(南皐)’라고 사액되어 서원으로 승격되어 선현배향과 지
남고유고 / 南皐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1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목활자본. 1931년 그의 후손 태문(泰文)·원환(元煥)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긍섭(曺兢燮)·이병주(李秉株)의 서문과 권말에 그의 족제(族弟)인 규(珪)의 발문이 있다. 연
남고집 / 南皐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송규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8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918년 송성호(宋性浩)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황원선(黃源善)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는 시, 권3은 소(疏)·서(書), 권4는 잠(箴
남곡문집 / 南谷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권상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26년에 간행한 시문집. 권1에 시 66수, 권2에 소 2편, 서(書) 7편, 잡저 4편, 잠 2편, 기 1편, 제문 4편, 묘지 1편, 권3에 습유(拾遺)로 만시(輓詩) 5편, 잡저 1편, 기 1편, 논 2편, 책 1편
남곡문집 / 南谷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조정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50년에 간행한 시문집. 1750년(영조 26)경 조정서의 아들 조명진(趙明震)·조명리(趙明履)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조명리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183수, 권2에 서(書) 9편, 기·논·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