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치사가 / 致仕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송순(宋純)이 지은 시조. 모두 3수. 1569년(선조 2) 작자가 77세 때 우참찬벼슬을 그만두고 담양으로 내려갈 때의 심정을 곡진하게 노래하였다. 작자의 문집 『면앙집(俛仰集)』 권4 잡저에 한역으로 수록되어 있다. 첫째수는 각종 가집(歌集)에 작자

  • 치산가 / 治産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고종 때 신재효(申在孝)가 지은 단가. 지은 연대는 미상이나 70세 이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단가란 광대가 본격적인 소리를 시작하기 전에 우선 목을 풀어보느라고 간단히 부르는 소리를 이르는 말로 작가는 이 작품에서 치산의 길을 퍽 소박한 수법이면서도 실천적이

  • 치술령곡 / 鵄述嶺曲 [문학/고전시가]

    신라 눌지왕 때 지어진 작자 미상의 노래.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창작동기만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간단하게 소개되어 있다. 눌지왕 때 박제상(朴堤上)이 왜국에 사신으로 가서 돌아오지 않자, 그 처가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그리워하다가, 세 딸을

  • 치어 / 致語 [문학/한문학]

    궁중에 경사가 있을 때 임금에게 올리던 송축내용의 한문문체. 그 근원은 월(越)나라 신하들이 그 임금을 송축한 데에서 유래되었는데, 그 풍습이 후대로 이어져 송대(宋代)에 우리 나라에까지 전파되게 되었다. 치어는 대체로 임금의 어연(御宴)이나 왕자·공주의 책봉연(冊封宴

  • 치와집 / 癡窩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시인 하응명의 시·서(書)·제문·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치와집』 권두에 박내오·조현규(趙顯珪)의 서문이 있다 권말에 이현욱(李鉉郁)·기원·개원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292수, 권2에 서(書) 1편, 제문 2편, 기(記) 1편, 서(序) 1편, 부록으로

  • 치우담 / 癡遇譚 [문학/구비문학]

    어리석고 모자란 사람들의 어리석은 행동을 중심으로 한 설화. 소담(笑譚)의 한 종류이다. 흔히 ‘바보’ 이야기로 일컬어지나, 이 유형의 모든 주인공이 반드시 바보는 아니며, 본의 아니게 어리석은 행동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치우담 속에 자주 등장하는 주인공들로는 어

  • 칠공자전 / 七公子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광정(李光庭)이 지은 전(傳). 『눌은집(訥隱集)』 권20에 실려 있다. 조선 태종의 손자인 우산군(牛山君)이종(李踵)과 그 여섯 아들은 인품이 훌륭하고 재능이 있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갑자년에 귀양갔다가 병인(1506)년에 동시에 사사(

  • 칠석요 / 七夕謠 [문학/구비문학]

    칠석날에 부르는 민요. 세시민요의 하나로 그 종류도 다양하다. 대표적인 노래는 다음과 같다. “칠월칠석 오늘밤은 은하수 오작교에/견우직녀 일년만에 서로반겨 만날세라/애야애야 애야좋네 칠석놀이 좀더좋네/(후렴)/……/까치까치 까막까치 어서빨리 날라와서/은하수에 다리놓아

  • 칠성본풀이 / 七星本─ [문학/구비문학]

    제주도의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부신(富神)의 신화인 동시에 그 신화를 노래하고 기원하는 제차(祭次). 제주도의 경우, 칠성을 한집안의 수호신인 조상신으로 모시는 집안도 있고, 표선면 성읍리의 경우와 같이 마을의 수호신인 당신(堂神)으로 모시는 곳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 칠성풀이 / 七星─ [문학/구비문학]

    호남 지역 일대에서 전승되는 서사무가. 최장복본에서는 매화부인이 칠성님의 소박하는 말을 듣고 곡기를 끊고 죽은 후에 아들 칠 형제가 아버지 밑에서 크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최장복본에는 판소리사설에 있는 기자치성 태몽 등이 그대로 수용되고 있어, 후대의 개작이 많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