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제도 > 관직 84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제도 > 관직
  • 문정관 / 問情官 [역사/근대사]

    이양선의 출현과 외국인의 표류시 그 사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임명된 관직. 1781년 표류한 외국인에게 조선의 예의와 풍속을 보이고 효과적인 조처를 취하기 위하여 왕명으로 이양선문정사례를 제정하고 조처하였다. 그 뒤 이양선의 출현과 외국인의 표류시 반드시 문정관이 파견되

  • 문하녹사 / 門下錄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종7품 관직. 목종 때 이미 두어져 있었으며, 문종 때 정원 1인, 종7품으로 정하여졌다.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에 의하여 도첨의녹사(都僉議錄事)로 바뀌고, 품질은 정7품으로 되었다. 1356년(공민왕 5) 반원운동의 일환으로 문종 관제가

  • 문하사인 / 門下舍人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설치된 문하부의 종4품 관직. 정원은 1인이었다. 문종 관제에서의 중서사인(中書舍人)의 후신이다.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에 의하여 중서사인이 도첨의사인(都僉議舍人)으로 바뀌었다가, 1356년(공민왕 5) 다시 중서사인으로 환원되었고, 1362년 내서

  • 문하시랑평장사 / 門下侍郎平章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정2품 관직. 문하시랑 또는 문하평장사로 약칭되기도 한다. 성종 때 처음 두어졌으며, 문종 때 정원 1인, 정2품으로 정하여졌다. 같은 시랑평장사이지만 중서시랑평장사보다 상위직이다. 1275년(충렬왕 1) 원나라의 강요에 따라 관제가 격하 개편될

  • 문하시중 / 門下侍中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종1품 중서문하성의 수상직. 중서문하성의 장관으로, 정원은 1인이었다. 같은 종1품직인 상서령과 중서령이 종친이나 원로 재상에게 주는 영예직 또는 치사직·증직이었으므로 명실상부한 고려의 최고관직으로서 수상이 되었다. 1369년 도첨의부가 문하부로 개편되면서

  • 문하주서 / 門下注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문하부의 종7품 관직. 정원은 1인, 품계는 종7품이었다. 중서주서(中書注書)의 후신이다. 국초의 내의성이 내사성·중서성·도첨의부·문하부로 개정될 때마다 내사주서·중서주서·도첨의주서·문하주서로 여러 번 바뀌었다. 그 직임은 문하부의 문서 또는 기록을 관장하

  • 문하찬성사 / 門下贊成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에 설치된 문하부의 정2품 관직. 1275년(충렬왕 1) 관제개혁에서 평장사가 찬성사로 바뀌었다가, 1356년(공민왕 5) 다시 평장사로 환원되었다. 그 뒤 1360년 평장정사로, 1362년 찬성사로, 1369년 도첨의부가 문하부로 개편되면서 문하찬성사로 되

  • 문하평리 / 門下評理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문하부의 종2품 관직. 정원은 3인. 1275년(충렬왕 1) 참지정사가 첨의참리로 바뀌었다가 1308년 충선왕에 의해서 첨의평리로 변경, 정원도 종래의 2인에서 3인으로 증원되었다. 이것이 1330년(충숙왕 17) 다시 첨의참리로 고쳐지고, 1356년(공민

  • 문하평장사 / 門下平章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종2품 관직. 정원은 1인. 1275년(충렬왕 1) 원나라의 요구에 의하여 고려의 관제가 격하될 때 중서평장사와 함께 첨의찬성사로 바뀌었으며, 1308년(충선왕 복위) 첨의시랑찬성사와 아울러 중호로 개칭되었다가 곧 첨의찬성사로 환원되었다. 135

  • 문학 / 文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정5품 관직. 태조 즉위초 좌문학·우문학 각각 1인씩이었으나 1460년(세조 6) 5월에 1인을 줄였다. 그 뒤 1529년(중종 24) 정5품의 겸문학(兼文學) 1인을 더 두었다.

페이지 / 85 go